등록 : 2013.12.04 20:58
수정 : 2013.12.04 22:22
화웨이, 엘지U+ 네트워크 사업 진출
미, 비공식 경로로 한국에 우려 전달
엘지U+ “화웨이는 장비만 제공할뿐”
미국과 중국의 갈등과 견제가 한국의 통신사업으로까지 비화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는 한국의 첨단 무선통신 구축 사업에 중국의 통신회사가 참가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3일 보도했다. 엘지유플러스가 구축하고 있는 엘티이(LTE) 네트워크 사업에 중국의 거대 통신회사 화웨이를 하청업자로 정하자, 미국과 동맹국들의 통신을 중국이 감청할 길을 열어줄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오바마 행정부 관리들이 한국 쪽에 전달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은 2011년 자국의 비상 대응 무선네트워크 구축 사업에 화웨이의 참가를 봉쇄한 데 이어 지난해 오스트레일리아가 발주한 광역 네트워크 사업 관련 계약 때도 압력을 넣어 화웨이의 참가를 봉쇄했다고 신문이 전했다. 미국은 화웨이의 장비가 동맹국의 통신뿐만 아니라 미군이 사용하는 대체보안통신망에 대한 첩보 활동에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관리들은 주한미군의 존재 탓에 한국의 통신네트워크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는 동맹국의 통신시설 구축에서 화웨이의 참가에 대한 우려를 공식 경로가 아닌 ‘개인적인 만남’을 통해 전하고 있는데, 이는 동맹국의 상업적 결정에 미 행정부가 개입한다는 인식을 해당국에 줄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미 행정부의 이런 장막 뒤 압력은, 미 국가안보국(NSA)의 도청 행위가 폭로된 데다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선포로 동아시아에 고조된 긴장을 완화하려는 조 바이든 부통령의 한·중·일 순방 기간이라 더욱 민감한 문제일 수 있다고 신문은 짚었다. 바이든 부통령이 5~7일 방한 때 이 문제를 제기할지에 대해 미국 관리들은 논평을 피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에 대해 엘지유플러스 쪽은 “화웨이는 장비를 제공할 뿐 장비 운용에서 배제되며, 그 네트워크는 엘지유플러스가 전적으로 운용한다”고 밝혔다. 화웨이 쪽도 “근거가 없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동기가 이상하다”고 반박했다. 한국 정부의 관련 부처 대변인은 ‘이 문제로 미국 정부와 접촉한 바 없으며, 결정은 해당 회사의 몫’이라고 밝혔다.
이 와중에 로버트 메넨데즈 미 상원 외교위원장 등 상원의원 2명이 척 헤이글 미 국방장관한테 우려를 표하는 서한을 보내,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의원들은 “통신기반시설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안보동맹의 운용 효율에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우려에는 안보적 고려뿐만 아니라, 미국 업체와 경쟁 관계에 있는 화웨이의 사업 확장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의길 선임기자, 이순혁 기자
Egil@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