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4.02.06 20:23
수정 : 2014.02.06 20:23
|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
캠벨 전 미 동아태차관보 밝혀
“북핵 확산 방지가 우선 메시지에
중, 변죽만 울려…세부 논의 못해”
커트 캠벨(사진) 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2009년 중국 정부와 북한 급변사태를 논의한 사실이 있다고 5일 확인했다. 그러나 그는 중국 쪽이 깊이있는 논의를 외면해 피상적인 수준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오바마 1기 행정부 때 ‘아시아 중시’ 정책을 주도한 캠벨 전 차관보는 이날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미·중 양국이 북한의 불가측한 상황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계기들이 있었다. 북한 정권의 급변(sudden change)과 그에 따라 어떤 상황이 전개될지 등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논의 계기와 형식은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 의회조사국(CRS)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2009년 10월 캠벨 차관보가 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비상(급변) 사태를 논의했는지와 관련한 질문에 모든 사안을 논의했다고 인정했다’고 밝혀 논의 내용에 관심이 집중됐다.
그러나 캠벨 전 차관보는 “중국은 변죽만 울리고 주변부만 맴돌 뿐이었고 북한문제와 관련해 전면적이고 궁극적인 견해를 내놓지 않았다”며 “주로 미국이 하는 이야기를 듣는 편이었다. 미·중이 북한 상황에 대해 모든 면을 논의했다고 말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북한 관련 논의를 매우 조심스러워 하며 가급적 일반적 사안을 논의하려고 했기 때문에 세부적인 수준까지 들어가지 못했다”며 “다만 미국은 (북한 급변사태 발생 때) 한·미동맹을 유지하고 핵무기 및 생화학 무기가 주변국에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결의를 하는 것이 우선적 관심사라고 중국 쪽에 분명히 얘기해왔다”고 말했다.
캠벨 전 차관보는 한-일 간 역사인식 갈등 문제와 관련해 “미국이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좀 더 정치적 대화를 독려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며 “일본이 한국과 견고한 관계를 확실히 약속하는 제스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어떤 제스처를 취할지는 일본이 결정할 문제”라며 “일본이 매우 강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일부 영역들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그는 사사에 겐이치로 주미 일본대사가 최근 한 세미나에서 미국을 향해 ‘누가 친구이고, 누가 말썽꾼인지 분명히 하라’고 노골적인 편들기를 압박한 데 대해 “미국은 일본의 안보동맹이지만 동시에 중국과 좋은 관계를 원한다”며 “이것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연합뉴스
사진 신화 뉴시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