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4.03.02 22:04 수정 : 2014.03.03 08:18

크림반도 초긴장…미-러 냉전시대로 국제사회도 긴박한 움직임

국제사회도 전례없는 미-러 정면충돌 위기를 맞아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전날에 이어 1일에도 긴급회의를 소집해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외신들은 러시아와 서방의 정면충돌이 국제사회에 가져올 파국적 결과를 우려하면서도 미국과 러시아 모두 극단적 위험을 감수하기는 어렵다는 정황을 들어 극적인 타협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치고 있다.

이날 유엔 안보리 회의는 우크라이나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러시아의) 군사행동을 막아달라”고 요청함에 따라 마련됐지만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는 2일 긴급회의를 열어 우크라이나 상황을 논의했고, 유럽연합도 3일 긴급 외무장관 회의를 소집했다.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는 기존 주장들이 양보 없이 맞부딪쳤다. 서맨사 파워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러시아 의회의 군사개입 승인을 두고 “상황을 불안정하게 만들 매우 위험한 결정”이라고 비난했다. 하지만 비탈리 추르킨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는 국제법상 러시아 군사개입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영국 <비비시>(BBC)는 현재 상황을 “모스크바의 우크라이나 도박”이라고 언급하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면전을 벌이게 된다면 우크라이나의 끔찍한 전쟁, 유럽 국경에서의 불안정성은 물론 시리아 내전 협상부터 이란 핵 문제까지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 풀어야 할 국제 이슈들에도 심각한 파문이 벌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하지만 서방 언론들은 국가부도 직전의 상황인 우크라이나가 전쟁까지 치를 경우 우크라이나와 긴밀하게 연결된 러시아 경제도 감당하기 어려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극적 타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 공보비서는 “(병력을 사용할) 권리가 곧바로 군사력 행사를 의미하진 않는다”고 말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전했다.

서방 국가들은 일단 ‘외교적 보이콧’에 나섰다. 미국이 오는 6월 러시아 소치에서 열리는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를 위한 예비회담에 참여하는 것을 유보하겠다고 전날 밝힌 데 이어 캐나다·프랑스·영국 등도 2일 예비회담 참여를 보류하기로 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2일 <엔비시>(NBC) 방송에 출연해 “러시아가 계속 이렇게 나온다면 푸틴은 G8 정상회의를 소치에서 열 수 없게 될 것이며 심지어 G8 회원국 지위를 잃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정세라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