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4.03.07 08:36
수정 : 2014.03.07 08:36
|
성 김 주한미국대사가 6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언론회관(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아주 중대한 인권 침해로, 한국이 느끼는 우려나 고통을 해결하라고 일본에 권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남북·중국 일제히 “무책임” 비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책임지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이는 일본 정부를 강하게 비판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일본 정부가 적극 반박하고 나섰다.
오카다 다카시 유엔 제네바본부 주재 일본 차석대사는 6일 오후(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25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은 과거에, 특히 아시아 사람들에게 큰 손해와 고통을 끼쳤다는 점에 대해 정부가 여러차례 통한의 감정을 표하고, 마음으로부터 사죄한 바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보상 문제는 이미 끝났으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현한) 고노 담화를 고친다고 말한 적도 없다”며 “아베 신조 총리도 21세기는 여성의 존엄과 기본적 인권의 침해가 없도록 하는 일에 힘을 쏟고 있다”고 강변했다.
오카다 대사의 발언 직후 유연철 한국 차석대사를 포함한 남북한과 중국 대표단은 발언권을 신청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고통은 인류 보편적 인권에 속하는 문제”라며 “일본 정부가 여전히 과거사에 대한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한목소리로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앞서 윤병세 장관은 5일 인권이사회 연설에서 “최근 일본의 일부 정치 지도자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명한 이전 정부의 담화(고노 담화)를 부인하려 하고 있다. 이는 세계 모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짓밟는 것”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한편, 성 김 주한 미국 대사는 6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한국이 느끼는 우려나 고통을 해결하도록 일본에 권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해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한 윤병세 장관의 인권이사회 연설 내용에 “동의한다”며 “위안부 혹은 성노예 문제는 아주 중대한 인권 침해”라고 강조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