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2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연 공동기자회견 뒤 악수를 하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
오바마-시진핑 정상회담 합의내용
11~12일 이틀간 열린 미-중 정상회담은 두 나라가 서로 이해가 맞는 분야에선 협력을 하면서도 아시아지역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지속할 것임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특히, 이번 회담에선 최근 2년간 영토분쟁과 사이버 해킹 등으로 대립을 반복하던 두 나라가 기후변화와 정보기술, 무역, 우발적 군사충돌 방지 장치 등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뤄내 주목받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2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두 정상이 합의한 내용을 발표하면서 주요 현안들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비교적 솔직하게 털어놨다. 이번 회담에서는 우선 국제적 현안에 관한 굵직한 합의 내용이 발표됐다. 세계 1~2위 온실가스 배출국가들이면서도 기후변화 협약에 미온적이었던 두 나라가 여기에 적극 나설 것임을 합의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이 제시한 목표치가 “이전에 약속했던 것보다 2배 빠른 속도”라고 말했다. 그동안 감축량이나 시기를 언약하지 않았던 중국도 2030년께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더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두 정상은 또 반도체·의료장비 등 첨단 정보기술(IT) 분야의 관세를 철폐하는 정보기술협정(ITA)의 적용 대상 품목을 200여개 확대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 협정은 그동안 한·미·일 등이 적용 품목의 확대를 요구해왔으나 중국의 반대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미국 쪽은 다음달 세계무역기구(WTO) 회의에서 협정 개정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두가지 사안은 G-2 국가가 협력할 경우 국제적 현안 해결에 중대한 진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 중국 배제한 채 진행하는TPP협정 중요한 진전 밝혀
중국, 미국이 껄끄러워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출범 강조 온실가스 감축·IT 관세철폐 확대 합의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