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그노벨상 수상한 '염소맨' 토머스 트워이츠. AIR의 이그노벨상 시상식 영상 갈무리
|
이그노벨상 수상자 발표…폴크스바겐이 화학상 수상
알프스에서 3일간 염소로 생활한 영국 연구자, 쥐의 성생활 탐구를 위해 쥐에 바지를 입힌 이집트 연구자, 죽은 파리를 수집해 책을 쓴 스웨덴 작가. 온갖 기상천외한 연구를 한 전 세계 괴짜들이 올해 '이그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하버드대 과학 유머잡지 AIR(Annals of Improbable Research)은 22일(현지시간) 저녁 하버드대에서 올해의 이그노벨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그노벨상은 '있을 것 같지 않은 진짜'(Improbable Genuine)라는 말과 노벨이 합쳐진 말로, 1991년 처음 제정돼 올해로 26번째를 맞는 상이다. 노벨상을 풍자하면서 동시에 기발한 호기심과 집념으로 성과를 일군 전 세계 연구자들을 '기리는' 상답게 올해 수상자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올해 이그노벨상 생물학상은 팔다리에 가짜 염소다리를 장착하고 알프스 초원에서 3일간 염소로 생활한 영국인 토머스 트워이츠와 오소리, 수달, 사슴, 여우, 새로 살아본 찰스 포스터 옥스퍼드대 연구원이 공동 수상했다. 자신의 염소 체험을 책 '염소맨'으로 소개하기도 한 트워이츠는 이날도 염소다리를 달고 기어 나와 상을 받았다. 지난 2007년 세상을 뜬 이집트 카이로대 교수인 아흐메드 샤피크는 쥐에 바지를 입혀 서로 다른 섬유가 쥐의 성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연구로 이그노벨 생식상 부분에서 사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샤피크는 폴리에스터나 폴리에스터 합성 섬유로 된 바지를 입은 쥐들이 상대적으로 성 활동이 위축됐다고 밝히며, 이를 사람에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
이그노벨상 수상한 이집트 연구자가 쥐에 바지를 입힌 그림. AIR의 이그노벨상 시상식 영상 갈무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