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12.28 17:19 수정 : 2017.12.28 22:05

문재인 대통령의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에 대해 입장문을 발표 사실을 보도한 일본 주요 신문들의 28일자 석간. 일본 언론들은 입장문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며 일본 정부의 반발을 전했다. 연합뉴스

아시아대양주 국장 “합의 유지 외에 정책적 선택지 없다”
“아베 신조 총리 합의 1㎜도 움직이지 않는다 말해” 보도도

문재인 대통령의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에 대해 입장문을 발표 사실을 보도한 일본 주요 신문들의 28일자 석간. 일본 언론들은 입장문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며 일본 정부의 반발을 전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 보고서와 관련해서 “이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해 일본 정부는 재협상 여지는 없다고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관방 부장관은 28일 문 대통령 발언에 대해 “일본으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계속해서 합의 이행을 강하게 요구한다. 그러지 않는다면 여러 형태로 일-한 관계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이날 주일 한국대사관에 “일-한 양국 정부에 합의를 유지하는 것 이외에 정책적 선택지는 있을 수 없다. 일본의 입장은 일관돼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이 전했다.

전날 고노 다로 외상 이름으로 발표한 성명에서 “합의를 변경하려고 하면 일-한 관계는 관리 불능이 된다”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이틀 연속 수위 높은 경고성 발언으로 불만을 표한 것이다. <요미우리신문>은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익명의 일본 외무성 간부가 “합의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것으로 재교섭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도쿄신문>도 이날 익명의 정부 고관이 “만일 한국 정부가 합의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선다면 국가와 국가 사이의 약속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는 태스크포스 보고서 발표 이후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어떻게 할지에 대한 정책 방향을 확실히 정하지 않았지만, 일본 정부는 한국이 재교섭을 요구할지 모른다고 보고 경고 발언을 계속해 쐐기를 박으려는 모양새다.

일본 신문들은 28일 1면 머리기사 등으로 태스크포스 보고서에 대해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보고서가 한-일 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한국이 합의를 준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부분이었다. 다만 북한 문제 때문에 일본도 한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으니 양국이 결정적인 대립을 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아베 신조 총리가 “합의는 1㎜도 움직이지 않는다”고 주변 사람들에게 말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준수 자체가 현명한 외교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문재인 정권은 합의의 준수를 표명하고 (피해자들의) 마음의 상처를 조금이라도 치유하기 위해 일본 정부와 함께 착실한 행동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행을 게을리하는 변명이 돼서는 안 된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보고서가) 설득력 있는 근거가 없다. 전 위안부 지원 단체의 정치적으로 편향된 주장에 따른 것이 분명하다”며 “문 정권은 소녀상 철거를 향한 구체적 행동을 취해야 한다. 이런 노력이 보이지 않으면 아베 총리의 평창올림픽 개회식 참석은 바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