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5.24 23:22 수정 : 2018.05.25 00:01

한겨레 자료사진

24일 김정은 위원장 앞으로 공개 편지
“최근 보여준 분노·적대감 볼 때 부적절…언젠가 만나길 고대”
북미정상회담 19일 앞두고 무산…한반도 정세 안갯속으로

한겨레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북한 외무성 관리들이 미국을 강경하게 비난한 것을 이유로, 6월12일로 예정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취소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3일 한-미 정상회담 이후 정상궤도를 회복하는 듯 했던 북-미 정상회담이 19일 앞두고 좌초함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다시 안갯속에 빠져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을 백악관을 통해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편지에서 “당신을 몹시 만나고 싶었지만 슬프게도 당신이 최근의 담화문에서 드러낸 엄청난 분노와 공개적인 적대감을 볼 때, 나는 이번에는 오랫동안 계획해온 회담을 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이 편지는 우리 양쪽을 위해, 그러나 세계에는 손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이번 싱가포르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을 것임을 밝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16일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리비아 모델’을 거론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난하면서 북-미 정상회담을 “재고려”할 수 있다고 한 데 이어 24일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거듭 같은 기조의 담화를 발표한 데 자극받은 것으로 보인다. 최 부상은 이날 담화에서 “미국이 우리의 선의를 모독하고 계속 불법무도하게 나오는 경우 나는 조-미(북-미) 수뇌회담을 재고려할 데 대한 문제를 최고지도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을 겨냥해 “핵보유국인 우리 국가를 고작해서 얼마 되지 않는 설비들이나 차려놓고 만지작거리던 리비아와 비교하는 것만 보아도 그가 얼마나 정치적으로 아둔한 얼뜨기인가를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고 비난했다.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4일 공개 서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편지에서 김 위원장에게 “당신이 핵 능력을 말했는데, 우리 핵 능력은 내가 그걸 사용할 일이 없기를 신에게 기도할 정도로 아주 거대하고 강력하다”고 했다. 북한이 “미국이 우리를 회담장에서 만나겠는지 아니면 핵 대 핵의 대결장에서 만나겠는지는 전적으로 미국의 결심과 처신 여하에 달려 있다”(최선희 부상 담화)며 핵 능력을 과시한 것을 반박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특히 북한은 영속적인 평화와 위대한 번영과 부유의 기회를 잃었다. 이번에 놓친 기회는 역사에 정말로 슬픈 순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북-미 정상회담을 재추진할 여지는 남겼다. 그는 “언젠가 당신을 만나기를 몹시 고대한다”며 “이 가장 중요한 정상회담과 관련해 마음이 바뀌면 주저하지 말고 내게 전화하거나 편지를 보내달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세명의 (미국인) 억류자를 풀어준 것은 아름다운 제스쳐였고 매우 고맙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이날 밤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이 공개된 뒤 “트럼프 대통령의 뜻이 무엇인지, 그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려고 시도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주 김계관 부상의 강경 담화와 남북 고위급회담 취소 등으로 경고등이 켜졌던 남북-미 관계는 지난 23일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6월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최선을 다 한다”고 합의함에 따라 동력을 얻는 듯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 비핵화를 ‘단계적’으로 진행할 뜻을 밝혔고, 북한이 24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의 핵실험장을 외국 언론인들 앞에서 폭파한 것도 긍정적 신호로 여겨졌다. 이번 주말 싱가포르에서 북-미 고위급 접촉이 이뤄질 것이라는 보도까지 나오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취소를 선언함에 따라 올 들어 쌓아온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급속한 냉각기를 맞으며 다시 위기 국면에 들어서게 됐다.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