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8.03 17:58 수정 : 2018.08.03 22:59

백악관 “김정은 친서에 트럼프도 답장”
교착상태에서 두 정상 ‘톱다운’ 재가동
2차 북-미 정상회담 기대 고조…9월 가능성
비핵화-종전선언 견해차 좁힐지 주목
폼페이오 “북, 안보리 결의 위반중”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친서 소통’을 재개해 교착 상태에 빠진 북-미 비핵화 협상에 새 동력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미군 유해 송환을 계기로 북-미 최고 지도자가 직접 대화 의지를 과시한 것이어서 2차 정상회담 등 새 국면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백악관은 2일(현지시각)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세번째 친서를 보내왔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답장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편지를 1일 받았다”며 “대통령이 답장을 썼다. 곧 전달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고받은 편지의 내용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편지는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공동선언에 나오는 그들의 약속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들은 완전하고 전체적인 비핵화를 위해 함께 일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김 위원장의 친서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되고, 트럼프 대통령이 회신한 경로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친서가 왔다고 백악관이 밝힌 ‘1일’은 한국전쟁 참전 미군 전사자 유해 55구가 미국에 도착한 날이다. 그러나 친서는 유해 송환과는 별개의 채널로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해가 하와이에 도착한 뒤 몇시간 만인 2일 이른 새벽 트위터에 “당신(김 위원장)의 멋진 편지에 감사한다. 곧 만나게 되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친서 교환은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 이후 북-미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 등 합의 이행을 위해 진행한 후속 협의가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이뤄졌다. 북한은 양국 관계 개선과 체제 안전 보장의 첫걸음으로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강조하지만, 미국은 비핵화를 위한 ‘상당한 움직임’이 먼저라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해리 해리스 새 주한 미국대사는 2일 기자간담회에서 종전선언을 위해 미국이 요구하는 선 조처로 핵시설 목록 제출을 꼽았다. 이런 견해차 탓에 교착 상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져왔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3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하러 싱가포르로 가는 길에 “김 위원장은 비핵화를 약속했다”며 “세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준수를 요구하지만 북한은 이를 위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우리가 추구하는 궁극적 성과를 이루기 위해 취할 방법이 있는지 보겠다”고 말했다. 북한이 핵물질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계속 만들고 있다는 미국 정부의 판단이나 언론 보도에 관한 질문에 대해 한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상들 간 친서 교환이라는 ‘톱다운’(위에서 아래로) 방식이 다시 대화의 동력을 살리고 국면을 바꾸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그동안에도 두 정상은 북핵 문제 해결 가능성에 대한 미국 주류 사회의 회의론을 톱다운 방식의 의사소통으로 돌파해왔다.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5월24일 북-미 정상회담 취소를 선언하자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백악관으로 보내 1차 친서를 전달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지난달 6~7일 평양을 방문했을 때는 2차 친서를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2차 친서를 지난달 12일 공개하며 ‘빈손 방북’이라는 비판을 돌파하려 했다.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두 정상이 직접 대화 분위기를 살려냈다는 점에서 편지 교환 자체가 매우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제 초점은 두 정상이 2차 정상회담을 통해 꼬인 실타래를 풀 수 있느냐로 이동했다. 김 위원장의 3차 친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곧 만나게 되기를 고대한다”고 트위터로 화답했다. 2차 친서에 “다음번 상봉”에 대한 기대를 표현한 김 위원장이 이번에도 후속 정상회담을 언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모두 각각 11월 중간선거와 9·9절(북한 정부 수립 기념일)을 앞두고 있어 가시적 외교 성과가 필요하다. 두 사람이 다시 마주 앉을 시기로는 뉴욕에서 유엔총회가 열리는 9월이 유력해 보인다.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분명히 (2차 정상회담) 관련 논의에 열려 있다”며 “현재로선 확정된 게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를 위한 여건 조성이다. 1차 정상회담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확인하는 ‘선언적 성격’이 짙었는데, 2차 회담은 그보다 구체적인 성과를 내놔야 한다. 조엘 위트 미국 스팀슨센터 연구위원은 <월스트리트 저널>에 “각자가 최대한의 공개적 요구를 하면서 그 대가로는 최소한을 주려 하는 것은 놀라운 게 아니다”라며 “양쪽을 맞출 수 있는 ‘스위트 스폿’(최적 지점)을 찾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