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8.06 11:34
수정 : 2018.08.06 11:48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각)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만나 악수한 뒤 사진 촬영을 위해 취재진을 잠시 바로보고 있다. 케빈 림/스트레이츠 타임스 제공
|
‘원 코리아 실천운동’, 노엄 촘스키 등 참여
“도널드 그레그 등 전 주한미대사들 특별대표 지명”
“전시작전통제권 한국군에 이양” 등 요구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각)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만나 악수한 뒤 사진 촬영을 위해 취재진을 잠시 바로보고 있다. 케빈 림/스트레이츠 타임스 제공
|
한반도 평화를 위해 활동하는 미국 단체와 주요 인사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북한에 최대한의 압박이 아닌 최대한의 관여 정책을 지속해달라”고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미국과 북한이 각각 서로에게 ‘선 비핵화 조처’와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우선 북한과 신뢰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한 것이다.
‘원 코리아 실천운동’, ‘위민 크로스 DMZ’ 등 26개 단체와 노엄 촘스키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명예교수 등 20명의 인사들은 지난 2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 앞으로 이같은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고 5일 밝혔다.
이들은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과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 “북한에 안전 담보 제공”을 약속한 것을 평가했다. 이들은 그러나 최근 미 행정부 일각에서 북-미 상호 신뢰가 구축되기 전에 북한이 먼저 핵 무장을 해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며, “이는 미국이 또다시 북-미 합의 이행에 실패했던 과거를 되풀이하도록 하는 치명적 실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6·12 공동성명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5가지 제안을 했다.
첫째,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중대 조처를 취할 것을 주장하지 말고, 상호 신뢰구축 조처들을 잇따라 시작하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북한의 미군 유해 공동발굴이나 북-미 상호간 민간 방문 활성화,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외할 것 등을 꼽았다.
둘째, 올해 안에 한국, 미국, 북한, 중국의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정상회의를 마련해 한국전쟁 종전을 선언하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라고 제안했다. 셋째로는 한반도의 핵무장 해제와 북-미 관계 정상화, 평화협정 체결 등을 다룰 특별대표를 지명할 것을 요구하면서, 그 후보군으로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도널드 그레그, 제임스 레이니, 캐슬린 스티븐스 등을 제시했다.
넷째로는 대북 안전보장과 한반도 비핵화를 촉진하기 위해 미국이 북한에 핵무기 선제 사용 금지와 선 군사 공격 금지를 선언할 것을 요구했다. 다섯째로는 4·27 판문점 선언의 내용을 존중해, 미국이 남북 상호 화해·협력을 지지하고, 가급적 이른 시일 안에 전시작전통제권을 한국군에 넘길 것을 요구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