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8.23 11:42 수정 : 2018.08.23 19:45

코언, 여성 입막음 돈 전달 인정이어
“트럼프재단 비리 수사에 협력할 것”
트럼프, 입막음 돈 “나중에 알아” 말바꿔
민주당, 아직은 탄핵 조심스럽지만
검찰 수사 내용에 따라 카드 꺼낼 수도

‘12년 지기’ 변호사 마이클 코언이 던진 폭탄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휘청거리고 있다. 미국 정치권과 언론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탄핵 추진 가능성을 조심스레 따져보기 시작했다.

코언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두 여성(스테퍼니 클리퍼드, 캐런 맥두걸)에게 성관계 입막음용 돈을 줬다’고 법원에서 진술한 이튿날인 22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하나의 비보를 접했다. 코언 쪽이 ‘트럼프 재단’ 비리와 관련해서도 검찰에 협조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코언은 선거자금법과 금융사기 등에 대해 연방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그런데 이와 별개로 트럼프 재단 비리를 들여다보고 있는 뉴욕주 세금·재정국이 코언에게 소환장을 발부했다. 트럼프 대통령 본인과 가족이 재단 기금 중 25만8000달러(약 2억9000만원)를 불법으로 유용했다는 의혹을 파헤치는 데 코언의 도움을 요청한 것이다. 앞서 코언의 변호사인 래니 데이비스는 “코언이 트럼프 재단 수사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갖고 있다”고 말했었다. 데이비스는 <엠에스엔비시>(MSNBC) 인터뷰에서 “코언이 소환장을 수용할 것이고, 연방수사국(FBI)에 했듯이 당연히 (뉴욕주에도) 협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코언은 오랫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법률자문을 맡으며 자금 관리에도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만큼,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골치거리가 늘어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와 트위터 등을 활용해 방어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안방’처럼 여기는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두 여성에게 입막음용 돈을 지불한 것을 “나중에(Later on) 알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돈이 선거자금에서 나간 게 아니라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자금 출처가 공금이 아니라 자기 개인 돈이기 때문에 선거자금법 위반이 아니라고 주장한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까지만 해도 입막음용 돈 지불 사실과 출처에 대해 “모른다”고 해왔다. 말을 바꾼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도 “좋은 변호사를 찾는다면, 코언의 서비스는 받지 않기를 강력히 권한다”, “코언은 범죄가 아닌 선거자금법 위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도 선거자금법을 위반했지만 그건 쉽게 해결됐다” 등의 반박을 이어갔다. 2008년 대선 때 버락 오바마 캠프가 후원금 신고를 늦게 해 벌금형을 받은 일과 비교하며, 자신의 문제는 선거자금법 위반조차도 안 되는 사안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트럼프 지시로 입막음용 돈을 줬다’는 코언의 발언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마주할 경우의 수는 검찰의 기소와 의회에서의 탄핵 두 가지다. 하지만 현직 대통령은 기소할 수 없다는 미 법무부의 오랜 규정에 따라, 로버트 뮬러 특별검사도 트럼프 대통령을 기소하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남은 경우의 수는 의회의 탄핵이다. 그러나 아직 향배를 가늠하기 어렵다. 민주당 일각에선 탄핵을 주장하는 이도 있지만, 낸시 펠로시 하원 원내대표는 11월 중간선거에서 이기더라도 “탄핵은 우선순위가 아니다”라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뮬러 특검팀이 2016년 대선 때 트럼프 캠프와 러시아 사이 ‘공모’나 사법방해의 결정적 증거를 찾아내면 민주당이 탄핵 카드를 꺼낼 가능성은 열려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기자 브리핑에서 “탄핵을 걱정하느냐”는 질문에 “탄핵 아이디어는 솔직히, 민주당의 슬픈 시도다. 민주당이 중간선거에 들어간다는 메시지 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