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8.28 17:26 수정 : 2018.08.28 21:2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7일 아내 멜라니아와 함께 백악관에서 우후루 케냐타 케냐 대통령을 배웅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예고
“중국 상대로 잘 싸우고 있어
궁극적으로 합의 도출 확신
우리 경제는 상승세…더 좋아질 것”
WP “김영철 적대적 편지에
트럼프, 폼페이오 방북 취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7일 아내 멜라니아와 함께 백악관에서 우후루 케냐타 케냐 대통령을 배웅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각) 미-중 무역 전쟁과 관련해 “중국과 대화할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을 취소하며 미-중 무역 전쟁과 북한 비핵화 협상을 연계한 뒤 거듭 강경한 태도를 재확인하며 사태 장기화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멕시코와의 무역 협상이 타결된 직후 백악관에서 엔리케 페냐 니에토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하다가 중국 얘기를 꺼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것(미-멕시코 무역 협상)과는 관계없지만, 우리는 다른 나라들과도 매우 많이 협상하고 있다. 중국이 그 하나다. 중국은 대화를 하고 싶어 하지만, 솔직히 말해 지금은 중국과 대화할 적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중국과의 무역은) 너무 오랫동안, 수십년 동안 너무나 일방적이었다. 그래서 얘기할 적기가 아니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어 “궁극적으로는 중국과 합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지금 현재 우리는 중국을 상대로 잘 싸우고 있다”며 “우리 경제는 상승세다. 이렇게 좋은 적이 없었고 더 좋아질 걸로 본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가 탄탄한 모습을 보이는 만큼, 중국과의 무역 전쟁이 장기화되더라도 충분히 이길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인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취소하면서 “중국에 대해 더욱 터프해진 우리의 무역 입장 때문에 중국이 예전만큼 (북한의) 비핵화 과정을 돕지 않고 있다”며 중국을 겨냥했다. 이어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과의 무역 관계가 해결된 뒤에 북한에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해, 미-중 무역 전쟁과 북한 비핵화를 연결지었다. 지난 22~23일 예정된 미-중 무역협상을 앞두고는 <로이터> 통신 인터뷰에서 “(이번 협상에) 별 기대를 하지 않는다”며 완강한 태도를 보인 바 있다. 이번에 “중국과 대화할 때가 아니다”라고 밝힌 것은 무역 전쟁과 북한 비핵화 두 가지를 놓고 중국과 장기전을 벌이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며 압박 수위를 높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을 발표 하루 만에 갑작스레 취소한 것은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보내온 ‘비밀 편지’ 때문이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워싱턴 포스트>의 외교 전문 칼럼니스트인 조시 로긴은 2명의 행정부 고위 관리로부터 확인했다며 27일 이런 내용을 전했다.

이 보도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취소를 발표하기 몇 시간 전인 24일 오전 폼페이오 장관은 김 부위원장한테 편지를 받은 뒤 이를 백악관에 가져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여줬다. 이 편지를 읽은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이 이번 방북이 성공할 것 같지 않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로긴은 밝혔다. 그는 편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하지 않았지만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취소할 만큼 충분히 적대적이었다”고 했다. 이 결정을 내린 회의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 스티브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 성 김 주필리핀대사 등 대북정책 핵심들이 참석했다. 김 부위원장의 편지가 폼페이오 장관에게 전달된 경로는 알려지지 않았다.

앞서 북한은 성과 없이 끝난 폼페이오 장관의 7월6~7일 3차 방북 직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미국이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의 “정신에 배치되게 일방적이고 강도적인 비핵화 요구만 들고 나왔다”고 반발했었다. 이번 편지에도 그와 비슷한 취지가 들어있었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