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9.27 15:03 수정 : 2018.09.27 20:15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뉴욕에서 이용호 북한 외무상과 회담하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 페이스북 갈무리

폼페이오 내달 4차 방북…2차 정상회담 일정 조율할듯
북-미 회담 교착 원인인 ‘미국의 상응 조처’ 논의 전망
트럼프 “나에겐 시간이 있다. 서두를 필요 없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뉴욕에서 이용호 북한 외무상과 회담하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 페이스북 갈무리
북한과 미국이 26일(현지시각) 뉴욕에서 외교장관 회동을 하면서 2차 정상회담을 위한 준비 단계에 공식 돌입했다. 이 회동에서 합의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다음달 평양 방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차 정상회담으로 가는 중대 관문이 될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유엔총회가 열리는 뉴욕에서 리용호 북한 외무상과 만나 다음달 평양을 방문해달라는 김 위원장의 초청을 받아들였다고 헤더 나워트 국무부 대변인이 밝혔다. 나워트 대변인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목적에 대해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북한의 비핵화(FFVD)를 포함해 싱가포르 (1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이뤄진 약속 이행에 관한 추가적 진전을 만들어내고,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폼페이오 장관도 트위터에 “다가오는 정상회담과 북한 비핵화를 위한 다음 조처들을 논의하기 위해 리 외무상을 만났다”며 회동 사진을 올렸다. 그는 “매우 긍정적 만남”이었다며 “할 일이 많이 남았지만, 우리는 계속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로써 지난달 말 갑작스레 취소된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이 10월에 이뤄지게 됐다. 미국과 북한이 핵시설 신고 등 비핵화 초기 조처와 종전선언 등 상응 조처를 놓고 맞서며 대화가 중단됐던 만큼,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 계획을 공표한 것은 접점을 찾아가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로 읽힌다. 특히 이번 방북은 한 달간의 ‘휴지기’ 동안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교환 등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어서 한층 무게감이 실린다. 북한이 평양 공동선언을 통해 밝힌, ‘미국의 상응 조처가 있을 경우’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 등의 비핵화 조처를 미국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일정한 상응 조처를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은 평양에서 북쪽 카운터파트와 2차 정상회담 핵심 의제인 비핵화 초기 조처와 그에 대한 검증, 미국의 상응 조처, 이에 관한 전체적 로드맵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정상회담 일시·장소도 이때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직접 초청한 만큼, 그가 폼페이오 장관을 면담할 가능성도 높다.

양쪽은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북한 쪽 대표의 오스트리아 빈 회동도 추진 중이다. 빈은 핵사찰 활동을 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가 있는 곳이어서 사찰에 관한 구체적 논의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미국 쪽은 서두른다는 인상을 주기보다는 성과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시비에스>(CBS) 인터뷰에서 정상회담은 10월이 지나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준비에 일정한 시간이 걸린다. 두 정상이 성공적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올바른 여건을 확실히 만들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매우 빠른 미래에 김 위원장을 만날 것”이라면서도, 북한 비핵화라는 전체 과정에는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날 뉴욕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비핵화하는 데 얼마나 오래 걸릴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시간 싸움(time game)을 하는 게 아니다. 2년, 3년, 5개월이 걸린다 해도 문제될 게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1차) 북-미 정상회담 뒤 두 달 반 지났는데 사람들이 ‘왜 이리 오래 걸리냐’고 소리친다. 하지만 나는 시간이 있고,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북한과 진전이 계속되게 하려면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 기존 안보리 제재 결의를 이행해야 한다”며 제재 해제는 비핵화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