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0.01 17:34 수정 : 2018.10.01 21:10

북극해 곳곳에 빙하가 떠 있다. 연합뉴스

‘황금의 땅’ 영유권 강화 위한 열강들의 전쟁
러시아, 군사기지 운용 및 잠수함 활동
영 국방장관, ‘북극 방어 전략’ 발표
이권 둘러싼 미국·캐나다·러·영 등 경쟁 고조될 듯

북극해 곳곳에 빙하가 떠 있다. 연합뉴스
‘미확정의 대륙’인 북극의 영유권을 둘러싼 열강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영국은 러시아의 북극 일대 군사력 강화 움직임에 맞서 이 지역에 군대를 배치하는 내용을 담은 ‘북극 방어 전략’을 수립하기로 했다.

개빈 윌리엄스 영국 국방장관은 지난달 29일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와 인터뷰에서 향후 수십년간 해병대 및 특공대원 800명을 노르웨이에 파견하고, 현지에 방어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윌리엄스 장관은 “러시아의 잠수함 활동이 냉전 시대 수준에 거의 근접했다. (냉전 종식을 상징하는) 베를린 장벽과 함께 사라진 위협이 전면에 재등장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뒷마당에서 이익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려면 러시아의 움직임에 대응을 시작하는 것은 옳은 일”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현재 동시베리아해부터 바렌츠 해 연안까지 북극권과 인접한 연안 지역에 20여개의 군사기지를 운용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쇄빙선 건조 기술을 바탕으로 30여척이 넘는 쇄빙선을 보유하며 사실상 북극 항로 운항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국의 이번 조처는 북극해와 인접한 유럽 국가들이 힘을 합쳐 러시아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영국은 앞으로 이곳에 배치하는 병력으로 미국·네덜란드 해병대 및 노르웨이군과 함께 북극 방어 작전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영국 잠수함들을 북극권 빙하 아래에서 운용하는 한편, 대잠 항공기 등으로 러시아 잠수함을 추적하는 작전을 진행한다. 영국은 올해 11월 냉전 종식 이래 가장 큰 4만명 규모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군사훈련에 3000명을 파견할 계획이다. 그밖에 미국도 북극함대 창설을 검토 중이고, 캐나다도 북극의 주권 수호를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해 두고 있다.

영국 등이 이같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배경엔 ‘미확정의 대륙’으로 남아 있는 북극의 영유권을 강화라는 의도가 숨어있다. 북극은 남극과 달리 영유권을 구분하는 국제법 규정이 없어, 러시아·캐나다·영국·노르웨이·덴마크 등 인접국들이 배타적 경제 수역과 대륙붕 경계 획정 등을 놓고 대립하고 있다. 이들의 대립이 계속되면, 향후 북극도 분쟁지역이 될 가능성이 있다.

북극은 엄청난 천연자원이 매장된 ‘황금의 땅’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북극에 전 세계 미개발 천연가스의 30%(47조㎥), 액화 천연가스의 20%(440억 배럴), 원유의 약 13%(900억 배럴)가 각각 매장돼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지구온난화로 북극해의 얼음이 녹으면서 베링 해협과 북극해를 통과하는 북극항로의 운항 기간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는 여름인 4개월간 운항할 수 있지만 온난화가 가속화된 2030년이 되면 연중 항해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부산에서 네덜란드 로테르담까지 북극항로를 통해 운항하면, 인도양을 거쳐 수에즈운하를 통과하는 것보다 운항 거리는 약 30%(8300㎞), 기간은 10일을 단축할 수 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