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0.02 14:07 수정 : 2018.10.03 07:49

미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 디케이터. 미 해군 제공

미 “중국이 남중국해서 불안전하게 접근”
중 “미국이 무단으로 진입해 중국 주권 위협”
무역전쟁 이어 군사 분야로 갈등 확산

미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 디케이터. 미 해군 제공
고율 관세를 서로 부과하며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이번에는 남중국해에서 함정 간 충돌 직전 상황까지 갔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 해군 태평양함대는 지난 30일 남중국해의 영유권 분쟁지역인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군도) 주변 해역에서 ‘항행의 자유’ 작전을 수행하던 이지스구축함 디케이터함에 중국 구축함이 41m(45야드) 거리까지 접근했다고 1일(현지시각) 발표했다.

찰스 브라운 태평양함대 대변인은 “중국의 뤼양급 구축함이 남중국해의 게이븐 암초 인근에서 불안전하고 비전문적인 기동으로 디케이터함에 접근했다”며 “45야드까지 근접해와서 디케이터함이 충돌 회피를 위해 기동해야 했다”고 밝혔다. 브라운 대변인은 “(그럼에도) 우리 군은 국제법이 허용하는 어디라도 계속 비행하고 항해하면서 작전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케이터함은 당시 ‘항행의 자유’ 작전 일환으로 스프래틀리 제도의 게이븐 암초와 존슨 암초의 12해리(약 22㎞) 이내 해역을 항해하고 있었다. 칼 슈스터 전 미 해군 대령은 <시엔엔>(CNN)에 “선장들은 900여m(1000야드) 거리만 돼도 매우 긴장한다”며 “이건 매우 위험했다”고 말했다.

중국은 “미 군함이 남중국해 해역의 섬과 암초에 무단으로 진입하자 중국 함정이 상황을 식별한 뒤 증거를 확보하고 경고 조처를 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중국 국방부의 우첸 대변인은 “미국은 중국의 주권·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면서 중국 허락 없이 남중국해 섬 근해에 군함을 반복적으로 보내고 있다”며 “중국은 이에 단호하게 반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도 별도 성명을 내어 미국에 “도발적” 행동을 멈추고 “잘못을 즉시 바로잡으라”고 촉구했다.

이번 일은 미-중 갈등이 무역에 이어 군사 분야로 확산되는 와중에 벌어졌다. 미 정부는 지난달 21일 중국이 러시아로부터 방공시스템을 구매하자 중국군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중국도 이에 맞서 이달 베이징에서 열릴 예정이던 미-중 외교·안보대화를 취소해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의 방중도 무산됐다. 또 중국은 이달 예정이던 미 해병대 강습상륙함 와스프함의 홍콩 입항도 거부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