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0.02 15:23 수정 : 2018.10.02 20:4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지난해 7월 독일 함부르크의 한 호텔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 양자 회담을 앞두고 악수하고 있다. 함부르크/ AP 연합뉴스

미국 퓨리서치센터 조사, 신뢰도 1위 메르켈
트럼프 취임 후 미국 이미지도 동반 추락
“미국 일방주의가 신뢰도 추락 주요 원인”
북-미 정상회담 효과, 한국선 17→44% 급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지난해 7월 독일 함부르크의 한 호텔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 양자 회담을 앞두고 악수하고 있다. 함부르크/ AP 연합뉴스
중국, 러시아, 영국 등 주요국 지도자들 중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낮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동맹국인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미국에 대한 이미지가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북-미 정상회담의 여파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올랐다.

미국의 여론조사 전문 기관 퓨리서치센터는 1일 25개국 2만6000명을 상대로 미국과 주요 국가 정상들에 대한 신뢰도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의 여론조사 업체가 1일 세계 5개국 정상들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퓨리서치센터 누리집 갈무리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국제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신뢰도가 가장 낮게 평가받은 정상은 트럼프 대통령이고, 가장 높은 신뢰를 얻은 정상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다. 트럼프 대통령을 신뢰한다는 답변은 27%인 반면 불신한다는 응답은 70%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34%)이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30%)보다도 적다.

이에 반해 메르켈 독일 총리는 신뢰 52%, 불신 31%로 조사 대상인 5명 가운데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신뢰 46%, 불신 34%로 신뢰도가 높은 지도자로 꼽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미국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하락했다. 독일의 경우 버락 오바마 대통령 시절 미국에 대한 신뢰도 90%대였지만, 트럼프 정권에서는 10%로 급락했다. 프랑스의 경우도 이전 정권에서 90%대의 신뢰도가 최근 9%까지 추락했다.

미국 정권별 신뢰도에 대한 조사 결과. 퓨리서치센터 누리집 갈무리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퓨리서치센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국제적 신뢰도가 바닥인 이유에 대해 미국 중심의 일방주의 외교 정책을 펼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탈퇴하고 이란 핵협정을 일방적으로 파기하는 등 돌발 행동으로 많은 유럽 국가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런 분위기와 달리 한국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지난해 17%에서 올해 44%로 크게 올랐다. 미국에 대한 선호도도 지난해 75%에서 80%로 상승했다. 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조성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