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0.18 15:10 수정 : 2018.10.18 21:05

데이비드 스틸웰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지명자. 미국 국무부 제공

데이비드 스틸웰 예비역 공군 준장 지명
5년간 한국 오산·군산 기지에서 근무

주베이징 미대사관 국방무관 지낸 대중 강경파
무역, 남중국해, 북 비핵화 공격적 정책 관측

데이비드 스틸웰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지명자. 미국 국무부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각)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외교를 총괄하는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에 데이비드 스틸웰 예비역 공군 준장을 지명했다.

스틸웰 지명자는 2015년 전역 때까지 35년간 공군에서 복무했고, 현재는 하와이 인도-태평양사령부의 중국전략포커스그룹 소장을 맡고 있다. 백악관이 이날 보도자료에서 “한국어 능통자”로 소개할 정도로 스틸웰 지명자는 한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1980년 한국어 전문가로 입대해 83년까지 주한미공군 오산기지에서 복무했다. 또 1993~95년 F-16 조종사로 군산 공군기지에서 근무한 경력도 있다.

중국어도 구사하는 스틸웰 지명자는 2011~2013년 주중 미국대사관의 무관을 지냈으며, 중국에 강경한 입장을 가진 ‘매파’로 분류된다. 역시 대중 강경파로 꼽히는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태평양사령관으로 재직할 때 스틸웰 지명자는 합동참모본부에서 아시아 담당 부국장으로 일하며 손발을 맞춘 경험이 있다. 그를 동아태담당 차관보에 지명한 것은 미-중 무역전쟁과 남중국해 분쟁, 북한 비핵화 문제 등에서 중국에 공격적인 정책을 펴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동아태담당 차관보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해 3월 대니얼 러셀 전 차관보가 사임한 뒤 수전 손턴 전 차관보 대행 체제로 유지되다가 손턴 전 차관보가 지난 7월 물러난 뒤 공석이었다.

스틸웰 지명자가 상원 인준을 거쳐 임명되면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부차관보급 인사(마크 내퍼 한국·일본담당 부차관보 대행, 마크 램버트 북한담당 부차관보 대행), 조이 야마모토 신임 한국과장을 포함해 국무부 내 한반도 담당자들의 인선이 마무리된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