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11.05 15:22
수정 : 2018.11.05 22:34
|
프랑스령인 남태평양 뉴칼레도니아의 누메아에서 4일 주민들이 분리·독립 투표에 참여하고 있다. 누메아/AFP 연합뉴스
|
주민투표서 57% “반대”…인구 과반이 이주민
프랑스와 관계 단절땐 경제타격 우려 팽배
|
프랑스령인 남태평양 뉴칼레도니아의 누메아에서 4일 주민들이 분리·독립 투표에 참여하고 있다. 누메아/AFP 연합뉴스
|
프랑스령인 남태평양 섬나라 뉴칼레도니아(누벨칼레도니)의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가 부결됐다.
<에이피>(AP) 통신은 4일 주민투표에서 57%가 독립에 반대해 뉴칼레도니아가 프랑스령으로 남게 됐다고 보도했다. 등록된 유권자는 17만5천여명이고, 투표율은 80%로 집계됐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세계적 관광지 뉴칼레도니아는 나폴레옹 3세 때인 1853년 프랑스 식민지가 됐다. 프랑스의 군사기지가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 최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뉴칼레도니아와 폴리네시아 등 남태평양 섬들을 보유한 프랑스를 “태평양 국가”라고 칭하기도 했다.
|
남태평양의 섬나라 뉴칼레도니아. 뉴칼레도니아 관광청 누리집 갈무리
|
뉴칼레도니아의 독립운동은 원주민인 카나크족을 중심으로 1985년부터 시작됐다. 1988년에 유혈 인질극으로 70여명이 숨지는 등 소요 사태가 확산되자 프랑스 정부는 자치권을 확대해줬다. 뉴칼레도니아는 1998년 누메아협정의 결과로 국방·외교·통화정책·사법권을 제외한 분야에서 자치권을 갖고 있다. 프랑스에서 매년 13억유로(약 1조6600억원)의 보조금을 받는다. 이번 주민투표는 누메아협정에 명시된 것으로, 2022년까지 두 번 더 할 수 있다.
|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투표 결과는 어느 정도 예견됐다. 26만여 주민 중 39%는 카나크족, 27%는 프랑스 등에서 건너온 이주민, 나머지는 아시아·태평양 섬 출신이다. 인구 절반이 넘는 이주민들이 독립에 반대하고, 관광업과 니켈 수출이 주요 수입원이기 때문에 프랑스와의 관계 단절은 경제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했다. 1980년 프랑스에서 독립한 인근 섬 바누아투의 1인당 소득이 뉴칼레도니아(3만3천달러)의 10분의 1이란 점도 여론에 영향을 미쳤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투표 결과는 프랑스공화국에 대한 뉴칼레도니아의 신뢰를 보여준다”며 “독립을 원한 이들의 실망감도 이해하지만, 프랑스는 모든 이의 자유와 평등, 박애를 보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