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11.09 11:45
수정 : 2018.11.09 20:48
‘미국의 소리’ 보도
대북제제위 오스터롬 대사, 지난달 24일 유니세프에 허가 서한
엑스레이, 냉동트럭, 말라리아·결핵 예방 세트 등 46만달러어치
‘미국 요청’으로 허가 지연되는 단체도 있다고 ‘로이터’ 보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위원회가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에 의료장비 등 최소 46만8816달러(약 5억2천여만원)어치 인도주의 물품의 북한 반입을 허가했다고 <미국의 소리>(VOA)가 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보도를 보면, 대북제재위를 이끌고 있는 유엔 주재 네덜란드 대표부의 카렐 반 오스터롬 대사는 지난달 24일 유니세프에 보낸 서한에서, 유니세프가 요청한 일부 품목들에 대해 제재 유예를 허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유니세프는 지난 8월 결핵·말라리아 퇴치와 예방 접종 등을 위한 품목을 북한에 운송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대북제재위에 요청했다.
서한과 함께 첨부된 목록에는 모두 35개의 물품에 대해 ‘승인’(Approval)이라는 문구와 금액, 거래 관련 회사명, 출도착 항구 정보 등이 적혀있다. 여기에는 7만4189달러짜리 유럽산 엑스레이 장비, 3만9550달러짜리 중국산 엑스레이 장비가 포함됐다. 예방 접종 약품을 공항에서 의약품 보관 시설로 운송하기 위한 냉동트럭 1대도 목록에 있다. 유니세프는 중국산 5만500달러짜리 이 트럭에 대해, 1살 미만 35만5000명의 아동과 36만2000명 임산부의 질병 예방을 위한 장비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실험실 장비 5개, 병원용 디지털 카메라 1개, 백신 저온 유지 장비 2개, 수술실 기구(조명 등) 13개, 말라리아 예방 물품 2세트, 결핵 예방 물품 1세트 등의 북한 반입이 허가됐다. <미국의 소리>는 물품 총액이 46만8816달러에 이르며, 금액 표기가 안 된 것까지 포함하면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이들 물품이 북한에 들어갈 수 있는 기간은 지난달 19일부터 내년 4월19일까지 6개월간이다.
다른 대북 인도주의 단체들의 제재 면제 요청들은 지연되고 있다는 보도가 이날 함께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안보리 대북제재위의 문서를 인용해, 미국의 한 자선단체가 지난 9월에, 아일랜드의 구호단체와 국제적십자연맹(IFRC)이 지난 8월에 각각 대북제재위에 제재 면제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미국이 ‘검토할 시간을 더 달라’고 요청해 아직 승인이 나지 않고 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