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1.16 17:32 수정 : 2018.11.16 20:14

쿠웨이트 지역에 내린 갑작스러운 폭우로 14일 주요 도로가 물바다가 됐다. 이동하던 차량이 물에 잠겼고, 사람들은 보트를 이용해 이동하고 있다. 쿠웨이트시티/AFP 연합뉴스

강풍·번개 동반 기록적 폭우에 도로·공항 물에 잠겨
학교·공항 폐쇄, 국영 석유회사도 가동 중단

전 세계 잇따른 ‘사막 홍수’ 원인은 ‘온난화’

쿠웨이트 지역에 내린 갑작스러운 폭우로 14일 주요 도로가 물바다가 됐다. 이동하던 차량이 물에 잠겼고, 사람들은 보트를 이용해 이동하고 있다. 쿠웨이트시티/AFP 연합뉴스
‘사막의 나라’ 쿠웨이트에 며칠 사이 연간 강수량에 육박하는 폭우가 쏟아졌다. 기상 관측 역사상 최악의 폭우로 도로가 물에 잠기고, 국영 석유회사 가동도 중단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15일 쿠웨이트에 기록적인 비가 내려 나라 전체가 큰 혼란을 겪었다고 보도했다. 전날 수도인 쿠웨이트시티에 90㎜의 폭우가 내리는 등 쿠웨이트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많은 비가 내렸다.

강풍과 번개를 동반한 기록적 폭우로 활주로가 물에 잠겨 14일 밤 공항이 폐쇄됐다. 도로도 곳곳이 물에 잠겨 14~15일에는 관공서와 학교들도 문을 닫고 국영 석유회사의 업무도 중단됐다. 많은 주택이 침수됐고, 사망자도 1명 발생했다.

쿠웨이트는 열대성 사막 기후라서 통상 우기인 11~2월 사이 몇 차례 비가 내릴 뿐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0㎜가량이고, 11월 평균 강수량은 20㎜다. 그런데 지난 2주간 내린 비의 양이 180㎜에 달한다. 현지인들은 “며칠 동안 계속 폭우가 내리는 건 평생 보기 힘든 광경”이라고 말했다.

쿠웨이트 정부는 수해 복구 및 대책 수립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또 수해 책임을 물어 공공사업부 장관을 비롯해 부처 고위 공무원들을 경질했다.

사하라 사막 북서쪽 알제리 아인 세프라 지역이 눈으로 덮혀 있다. 사진 카림 부체타타, 허프포스트코리아 누리집 갈무리
지난 9월에도 중동 국가인 요르단에서 홍수가 발생해 13명이 사망했다. 요르단은 연간 강수량이 90㎜ 안팎인 메마른 땅이다. 요르단 전역의 고속도로와 관광지들이 물에 잠겨 비상사태가 선포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온난화가 ‘사막 홍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말한다. 특히 올해는 세계적인 무더위로 대기 중 수증기가 증가했고, 이로 인해 만들어진 비구름이 계절풍을 타고 이동하면서 사막에도 많은 비를 내리게 했다는 것이다. 사막 기후 국가들은 홍수에 대비한 배수 시설이 잘 갖춰지지 않아 폭우 때 피해가 커진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