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1.22 15:07 수정 : 2018.11.22 22:19

유엔 총회

유엔 안보리서 북한 상황 보고받은 뒤 기자회견
“ 주민 다치게 해선 안돼…특정 품목은 제재 예외를”

유엔 총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21일(현지시각) 뉴욕 유엔본부에서 인도적 지원과 관련해 북한 상황을 보고받았다. 이 회의 뒤 올로프 스쿠그 유엔주재 스웨덴 대사는 “북한 상황이 심각하다”며 대북 인도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스쿠그 대사는 이날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으로부터 브리핑을 받은 뒤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고 <데페아>(DPA) 통신이 보도했다. 스쿠그 대사는 “안보리의 대북제재가 북한 주민들에게 부정적이고 간접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며 “특정 품목에 대해서는 예외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소리>(VOA)는 스쿠그 대사가 인도적 지원과 관련한 면제 조항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도 있음에도 지원에 부정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스쿠그 대사는 북한의 인도적 상황이 심각해진 주책임은 북한 정권에 있지만, 북한 주민들에게 생명유지 지원을 제공해야할 국제사회의 의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최근 미국 정부가 대북 인도적 지원 품목에 대한 면제 요청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것과 관련해, 스쿠그 대사는 “대북제재위원회가 내부적으로 논의할 문제이기 때문에 특정 국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스쿠그 대사는 “대북 제재를 유지해야 한다는 안보리 이사국들의 입장은 단호하다”며 “다만 일반 주민들을 다치게 하는 것까지 지지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스웨덴은 북한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북한 안에서 미국을 대신해 영사업무를 대행하는 등 미국의 이익대표부를 맡고 있다. 북한과 미국이 내년 초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고위급 회담 등을 조율하는 상황에서 스웨덴이 대북 인도적 지원 목소리를 내고 나선 것이어서 향후 미국 등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