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2.30 09:12 수정 : 2018.12.30 14:11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한 사실을 알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9일 트위터 글. 화면 갈무리.

내년 ‘미-중 수교 40주년’ 앞두고 통화
트럼프 “무역협상 합의된다면 매우 포괄적일 것”
시진핑 “서로 양보 통해 가급적 일찍 합의하기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한 사실을 알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9일 트위터 글. 화면 갈무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9일(미국 시각) 전화통화를 하고, 현재 진행중인 두 나라의 무역 협상과 관련해 긍정적인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 ‘3개월 휴전’이 끝나는 3월 초까지 미-중이 서로 만족할 만한 합의에 이를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위터에 글을 올려 시 주석과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고 무역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방금 중국의 시 주석과 길고도 매우 좋은 통화를 했다”며 “협상은 아주 잘 진행되고 있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합의가 이뤄진다면 그것은 모든 주제와 분야, 쟁점들을 망라하는 매우 포괄적인 것이 될 것”이라며 “큰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지난 1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아르헨티나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유예하고 90일간 협상을 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정상회담 이후 두 정상이 직접 접촉한 게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통화는 미-중 수교 40주년인 새해를 앞두고 인사를 겸해 이뤄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둘째)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 둘째)이 12월1일(현지시각)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팔라시오 두아우 파크 하이엇 호텔에서 미-중 무역전쟁 개시 뒤 첫 양자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AP 연합뉴스
시 주석 또한 이날 통화에서 우호적 메시지를 전했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인들에게 신년 인사를 전하면서 “미-중 관계의 안정적 진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국과 미국은 지난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무역전쟁 휴전의 내용들을 이행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양국 협상팀이 가급적 이른 시기에 만나 서로 양보를 통해 두 나라와 세계에 이익이 되는 합의에 이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미-중 경제 관계가 “중요한 단계”에 있다며, “중국은 미-중 양자관계 발전을 중요하게 여기고,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양자관계 발전을 위한 미국의 의지에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경제와 통상, 군사, 사법, 마약퇴치, 문화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다만 시 주석이 “서로 양보”와 “안정적 진전”을 언급한 것으로 볼 때, 미국의 모든 요구를 전적으로 수용할 수는 없다는 뜻을 전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미국은 중국에 미국산 제품 수입량 대폭 인상 외에도 △강제 기술 이전 △지식재산권 보호 △비관세 장벽 △사이버 침입·절도 △서비스·농업 분야 등에 걸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1일 미-중 정상이 3개월 휴전에 합의한 뒤로, 그 전까지 치솟던 양쪽의 긴장은 일단 가라앉은 상태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 부과 위협을 거둬들였으며, 중국은 미국산 콩에 이어 28일에는 쌀 수입을 시작했다. 미-중의 무역협상단은 1월 둘째주에 베이징에서 협상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최근 보도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통화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국제적·지역 주요 이슈에 대한 소통 및 협력을 유지하면서, 서로의 중요한 이익을 존중하고, 협력·조율·안정에 기초해 양국 관계를 증진하는 동시에 양국 국민과 전 세계인의 더 나은 이익을 위해 양자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새해 1~2월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에 미-중이 공조하자는 원칙을 공유한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