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1.08 09:54 수정 : 2019.01.08 20:57

김용 세계은행 총재. AFP 연합뉴스

“2월1일 물러날 것…개도국 인프라 민간 기업에 합류”
임기 3년 남기고 7일 오전 이사회에서 ‘깜짝 발표’
중국 대출·기후변화 등에서 트럼프 정부와 이견 해석
미 언론 “후임 선정에 미국과 다른 회원국 논쟁 일어날 것”

김용 세계은행 총재. AFP 연합뉴스
2012년 아시아계 최초로 세계은행 수장에 오른 김용(59·미국명 Jim Yong Kim) 총재가 다음달 1일 물러나겠다고 7일(현지시각) 밝혔다. 두번째 5년 임기(2017년 7월~2022년 6월)를 3년 이상 남겨두고 전격적으로 사퇴하는 것이어서 그 배경을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김 총재는 이날 트위터 계정에 글을 올려 “2월1일 세계은행 총재에서 물러날 것”이라며 “위대한 기관의 헌신적인 직원들을 이끌고 빈곤 없는 세상으로 더 가까이 가는 것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큰 특권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개발도상국 인프라 투자에 초점을 맞춘 민간 기업에 합류할 것”이라며 “민간 부문에 참여하는 기회는 예상 못 했던 것이지만, 이것이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중요 이슈와 신흥시장의 인프라 부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길이라고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세계은행은 성명에서, 다음달 1일부터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세계은행 최고경영자(CEO)가 임시로 총재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계 미국인인 김 총재는 세계보건기구(WHO) 에이즈국장을 지낸 보건 전문가로, 2009년 미 아이비리그 대학 중 하나인 다트머스대 총장에 올랐다. 그는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시절인 2012년 아시아계 최초로 세계은행 총재에 올랐으며, 2016년 9월 연임에 성공해 2017년 7월1일부터 두번째 5년 임기를 시작했다. 세계은행은 1945년 설립된 뒤 김 총재 이전까지 모두 미국인이 총재를 맡아왔다.

김 총재는 이날 오전 열린 이사회에서 전격적으로 사임 의사를 밝혔으며, 구체적인 이유는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임기 도중에 물러난 총재들이 있었지만, 김 총재처럼 ‘깜짝 발표’는 드물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김 총재의 사퇴 발표가 세계은행의 최대 주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불화 때문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김 총재가 사퇴를 발표하면서, 민간 부문 참여를 “예상 못 했던 것”이라고 밝힌 점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영국 <비비시>(BBC)는 “김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과 공개적 충돌은 피했지만, 그의 정책 접근은 기후변화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접근법과 가끔씩 불화했다”고 짚었다. 이 매체는 “미국 석탄산업을 부활시키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과 달리, 김 총재 아래의 세계은행은 석탄 발전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을 끝냈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 재무부는 세계은행이 중국에 너무 많이 대출을 해준다고 비판해왔다”며 세계은행과 미 재무부가 종종 적대적이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미 재무부가 지난해 4월 세계은행의 130억달러 증자를 지원했던 점을 볼 때, 김 총재와 미 행정부의 정책적 마찰이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 총재가 주도한 세계은행 구조조정에 대한 내부 불만도 있었다고 한다.

세계적 경제 기구인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은 각각 미국과 유럽에서 총재를 맡는 게 암묵적 합의였다. 이 전통에 예외였던 김 총재가 사퇴함에 따라, 후임이 계속 비미국인으로 이어질지, 다시 미국인에게 돌아갈지 관심이 쏠린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후임 총재 선정을 놓고 미국과 다른 회원국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