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1.09 16:08 수정 : 2019.01.09 22:28

지난해 3월 첫 방중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부부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중국 CCTV 화면 갈무리

트럼프, 김 위원장 방중 이틀째까지 반응 안 내놔
조셉 윤 “시 주석에 동의받고 트럼프에 ‘중국카드’ 의도
2차 북-미 정상회담 2월 말이나 3월 초 열릴 듯”
조윤제 주미대사 “정상회담 위한 준비회담 개최 기대”

시진핑이 미국에 전할 김 위원장 메시지 중요
시, 지난해 북-중 정상회담 직후 트럼프와 통화

지난해 3월 첫 방중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부부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중국 CCTV 화면 갈무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행정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네번째 중국 방문에 대해 8일(현지시각)에도 공식 반응 없이 예의주시하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번 방중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성격이 강한 만큼 미국도 북한과의 대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 위원장과 함께 ‘입장’을 정리한 시진핑 국가주석이 적극적 중재자 역할을 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 방중 이틀째인 이날, 국경장벽 건설 연설에만 집중한 채 북한 관련 발언을 하지 않았다. 그는 김 위원장의 1일 신년사에 트위터로 “나도 만나고 싶다”고 화답하고 이튿날 김 위원장의 친서를 공개했으며, 6일에는 “(북-미 정상회담) 장소를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방중 사실이 공개된 뒤 대북 언급은 하지 않았다. 미국 국무부는 언론의 논평 요청에 “중국에 물어보라”고 했다. 북-중 정상회담 내용 파악에 나서면서 이것이 북-미 대화에 미칠 영향을 살피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방중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가까워짐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조셉 윤 전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이날 워싱턴에서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연 세미나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은 시 주석한테 ‘트럼프 대통령과 2차 정상회담을 해도 좋다’는 그린 라이트(승낙)를 받는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나는 이렇게 큰 중국 카드가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곧 잡힐 것으로 본다”며 “아마 2월 말이나 3월 초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차가 9일 호위를 받으며 베이징 중심가를 달리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신년사로 비핵화 및 북-미 대화 의지를 밝힌 직후라는 점에서도 표면상 멈춰 있던 북-미 대화 열차가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조윤제 주미 한국대사는 이날 특파원 간담회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물밑 접촉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머지않아 준비 회담이 열릴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 대사는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해서도 “확실한 것은 김 위원장과 북한은 대화와 협상 국면을 지속시키길 원한다는 것”이라며 “미국도 북한을 계속 대화와 협상 프로세스에 붙잡아두면서 북-미 관계와 비핵화 진전을 모색해가겠다는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9일 귀국 열차를 탄 이후 시 주석이나 중국 정부가 이번 회담을 미국에 어떻게 설명하고 협의할지로 초점이 이동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5월 김 위원장과의 다롄 정상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해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히며 “조선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과정을 함께 추진하자”고 했다. 김 위원장도 미국에 전달될 메시지를 맡겨놨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입장에서 볼 때 가시적이고 추가적인 비핵화 행동이 제시된다면 북-미 대화는 더욱 급물살을 탈 수 있다.

중국이 만족스러운 반대급부를 제시하지 않은 채 대북 제재 완화에 힘을 실어주는 제스처를 취한다면 미국의 반발을 만날 수도 있다. 하지만 미-중이 연말 이후 무역 협상에서 우호적 분위기를 만들며 대북 문제에서도 공조 기류를 보이는 점을 볼 때, 시 주석이 제재 대열에서 이탈할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미국은 경제 제재는 유지한 채, 북-미 연락사무소 설치 등을 비핵화 행동에 대한 상응 조처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김 위원장의 방중 행보를 충분히 파악한 후 행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의 고위급회담이나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실무회담이 이어질 수 있다. 폼페이오 장관이 평양을 방문할 가능성도 주목된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