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10.31 17:57
수정 : 2019.11.01 02:02
|
미국의 2020년 대선 민주당 후보들이 지난 6월 27일 플로리다 마이애미에 있는 한 아트센터에서 NBC 방송 주최 토론회에 참여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
전·현직 당국자들 잇따른 증언에 공화당내 불안감
민주당, 주자들 각축 속 ‘트럼프 킬러’ 안 보여
트럼프 ‘아메리카 퍼스트’에 대외정책 이슈 급부상
|
미국의 2020년 대선 민주당 후보들이 지난 6월 27일 플로리다 마이애미에 있는 한 아트센터에서 NBC 방송 주최 토론회에 참여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임이냐, 민주당의 4년 만의 정권 탈환이냐를 가를 미국 대선이 오는 3일로 1년 앞으로 다가왔다. 대선 앞 1년 미국 정가는 의회의 탄핵 조사가 트럼프 대통령을 위협하고 민주당에서는 절대강자가 보이지 않아 후보 구도에 불확실성이 가득한 형국이다.
■ 탄핵 조사 고삐에 트럼프 불안감 현재로서 ‘우크라이나 스캔들’과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은 민주당이 장악한 하원을 통과하더라도 공화당이 다수인 상원 문턱을 못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하지만 하원이 진행 중인 탄핵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위법적 행위를 뒷받침하는 증언들이 전·현직 정부 당국자들의 입에서 잇따라 나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지난 7월 통화를 직접 들은 알렉산더 빈드먼 육군 중령이 지난 29일 의회에 출석해 “두 정상의 통화 내용을 듣고 국가안보가 걱정됐다”고 증언한 뒤 공화당 안에 추가 폭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더 힐>이 보도했다.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과 불화 끝에 지난 9월 백악관에서 쫓겨난 존 볼턴 전 국가안보보좌관의 의회 출석을 시도하며 트럼프 대통령을 긴장시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탄핵 찬성 여론도 조금씩 오르고 있다. 여론조사 분석기관인 ‘파이브서티에이트’(538) 집계를 보면, 지난달 24일 민주당이 탄핵 조사 개시를 선언한 직후 탄핵 찬성 여론은 40.0%였으나 30일 현재 48.2%로 높아졌다. 공화당을 ‘트럼프 탄핵’으로 돌려세우기엔 여전히 미약한 수준이다. 하지만 민주당이 탄핵 조사를 비공개 증언에서 공개 청문회로 전환할 경우 여론이 또 한 차례 들썩일 가능성이 있다.
■ 절대강자 안 보이는 민주당
민주당은 후보 각축 속에 절대강자가 안 보인다. 18명의 대선주자 가운데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이 여론조사 2강을 이루며 엎치락뒤치락하고,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3위를 달리고 있다.
중도적 이미지의 백인 남성인 바이든 전 부통령은 지난 대선 때 민주당이 놓친 러스트벨트(쇠락한 중서부 공업지역) 탈환 등 ‘당선 가능성’을 강점으로 내걸고 있다. 워런 의원은 전국민 의료보험, ‘아이티 공룡기업’ 분할 등 진보적 의제를 내세워 표를 모으고 있다.
문제는 확실한 ‘트럼프 킬러’가 안 보인다는 점이다. 한 민주당 지지자는 <한겨레>에 “바이든도 워런도 트럼프 대통령과 실제 맞붙었을 때 이길 것 같다는 확신이 안 든다”고 말했다. 미 정국이 온통 탄핵에 쏠려 있어 앤드루 양, 피트 부티지지, 베토 오로크 등 ‘새 얼굴’이 돌풍을 일으키며 반전을 일으키기도 쉽지 않은 구조다.
■ 대외정책, 핵심 이슈로 급부상
트럼프 대통령이 대외정책 핵심 공약인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무차별적으로 휘두르면서, 대외정책이 대선 정국의 주요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의 시리아 미군 철수 결정은 여야 양쪽에서 “동맹을 버렸다”는 비판을 불렀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의 경찰이 되지 않겠다”며 국외 주둔 미군 철수의 당위성을 강조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과의 무역전쟁이나 북한과의 비핵화 대화에 대해서도 미국의 경제적 이익과 대미 안보위협 감소를 강조하며 외교 성과라고 자랑하고 있다. 그는 한국 등 동맹에는 방위비 분담금 대폭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대외관계의 절대적 기준을 ‘돈’에 두는 트럼프 노선에 미국 내 비판론도 커지고 있어, 내년 대선에서 대외정책이 주요 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