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07 18:36 수정 : 2005.02.07 18:36

지구상 두번째로 넓은 우림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콩고분지의 7개 중앙아프리카 국가 정상들이 이 지역 보존 의지를 다짐하는 한편 선진국의 지원을 촉구했다.

아마존에 이어 '세계의 두번째 허파' 노릇을 하고 있는 콩고분지 국가 정상들은지난 5일 콩고의 수도 브라자빌에서 모임을 갖고 산림 훼손에 대처하기 위한 10개년계획을 채택하고 목재 수출로 발생하는 수입에 세금을 부과해 보존 기금을 마련하는방안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AFP 통신이 6일 보도했다.

콩고분지는 230만 ㎢의 열대 우림지역으로 가봉, 적도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차드, 카메룬, 콩고, 콩고민주공화국(DRC) 등 7개 국가에 걸쳐 있다.

아프리카 순방중 이 회의에 참석한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매년 80만 ㏊씩 이 지역 산림이 훼손되고 있다"며 "훼손 규모는 인구팽창과 경제개발로 인해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고 AFP는 전했다.

불법적이고 무차별적인 벌목과 밀렵 행위가 콩고 분지 훼손의 주범인 만큼 시라크 대통령은 이 지역에 대한 불법 벌목 행위에 대한 감시와 통관 절차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7개국 정상들은 이와함께 '중앙아프리카우림지역 관계장관회의'(Comifac) 활성화를 위한 조약에도 서명했다.

Comifac은 지난 99년 카메룬 수도 야운데에서 출범했으나 서구 선진국 등으로부터의 기금 유치 활동이 지지부진해 그동안 이렇다할 활동을 벌이지 못했다.

이와 관련, Comifac 의장국 가봉의 오마르 봉고 대통령은 선진국들의 금융 지원을 촉구하면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자선이 아니라 (산림보전에 대한) 이해와 정의구현"이라고 말해 참석자들로부터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한편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케냐의 환경부 차관인 왕가리 마타이는 이들 국가 정상들로부터 콩고분지를 위한 순회대사역을 맡아달라는 제안을 수락하면서도 콩고분지 훼손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부패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현지 및 국제 환경 단체들은 정부.지역 관료들이 벌목 회사들로부터 받은 수입을 중간에 가로채거나 허비하는 등 부정행위가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해왔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콩고분지 삼림 훼손에 대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는 2040년엔 이 지역숲의 70%가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세계야생생물기금(WWF)은 예측한 바 있다.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