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현지시각)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열리는 프랑스 파리에서 28일 영국 구호단체인 옥스팜 활동가들이 프랑수아 올랑드(왼쪽부터) 프랑스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얼굴 모양 탈을 쓰고 식사를 하고 있다. 옥스팜은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안 합의를 촉구하며 이런 모습을 연출했다. 파리/EPA 연합뉴스
|
유엔기후협약 파리총회 오늘 개막
2020년 이후 적용될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체제에 대한 협상을 최종 타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 유엔기후변화협약 제21차 당사국 총회(COP21)가 30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막된다.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는 기후변화협약 발효 이듬해인 1995년부터 해마다 열리고 있는 기후변화협약의 최고 논의기구다. 다음달 11일까지 2주 동안 이어질 올해 총회에는 세계 196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의 정부와 산업계, 시민사회 인사 4만여명이 참석해 지구촌 최대 위협으로 꼽히는 기후변화에 공동 대처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교토의정서 5년뒤 만료후속 기후체제 타결해야
오바마·시진핑 등 140국 정상급 참여
법적 구속력·재정지원 등 쟁점 파리 당사국 총회는 2020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 후속 기후체제 협상을 최종 타결해야 하는 회의라는 점에서 어느 해 총회보다 중요한 회의다. 이에 따라 테러 위험이 높아진 상황에서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비롯한 전세계 140여개 나라의 정상급 지도자들이 대거 참여하고, 박근혜 대통령도 참석해 연설을 할 예정이다.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 이렇게 많은 정상급 지도자들이 참여하기는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 당사국 총회 이후 처음이다. 1997년 일본 교토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돼 2005년부터 발효된 현행 교토의정서 체제는 선진국들에만 온실가스 감축 책임을 지우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캐나다, 일본, 러시아, 뉴질랜드 등이 잇따라 탈퇴하면서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5%가 관리 대상에서 제외되는 한계를 드러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