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18 07:48 수정 : 2006.05.18 07:48

일본 대기업의 25% 가량이 기밀정보 유출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사원의 개인 e-메일 내용을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현지 언론이 18일 보도했다.

민간조사기관인 학무행정연구소는 지난 2-3월 상장사와 자본금 5억엔 이상 비상장사(직원 500명 이상) 등 139곳을 상대로 인터넷 및 e-메일 이용상황을 조사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17.4%가 e-메일을, 21.0%가 인터넷 이용상황을 각각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사원 1천명 이상 대기업의 경우 25.0%가 e-메일을, 29.0%가 인터넷 이용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직 조건과 사내규정 등으로 e-메일 등의 개인이용에 관한 규칙을 정한 곳이 48.9%에 달했으며, 이들 기업 가운데 각각 88.2%, 79.4%가 e-메일과 인터넷 이용을 각각 전면규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 처벌로는 e-메일 등을 통해 사내 기밀정보를 유출하거나 공개한 경우 51.7%가 '징계해고' 처분한다고 답했다.

또 절반에 가까운 기업들은 성인사이트를 보거나 개인 e-메일을 지나치게 자주 이용하는 사원에 '견책주의' 조치를 취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은 기업들이 정보관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고객 개인정보를 비롯한 사내 기밀정보의 유출을 막기위해 인터넷 감시에 주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http://blog.yonhapnews.co.kr/shin17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