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로히토 일왕
|
믿었던 일왕 발언 공개되자 극우세력 ‘경악’
히로히토 ‘외국인 조차 내마음 알아주는데…’ 탄식
히로히토 일왕(연호 쇼와, 1901~1989)이 A급전범의 야스쿠니 신사 합사에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는 메모의 발견에 이어, 그가 전쟁과 야스쿠니 참배를 정당화하는 우파 각료들을 지탄했다는 증언들이 잇따르고 있다.
히로히토가 숨지기 전 해인 1988년 4월22일 ‘모두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 소속 의원 192명이 야스쿠니를 참배했다. 당시 이 모임의 핵심이었던 오쿠노 세이스케 국토청 장관이 “전후 43년이나 지났는데 (참배 형식이) 공적이냐 사적이냐를 운운하는 것은 망령에 사로잡힌 것”이라는 망언을 해, 태평양전쟁이 침략전쟁인지를 둘러싼 논쟁이 불붙었다. 오쿠노의 망언에 한국과 중국이 거세게 반발함으로써 오쿠노는 결국 5월13일 사임했다.
히로히토는 이런 얘기를 듣고는 탄식을 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21일 전했다. 당시 측근들은 히로히토가 “왕궁에서 사회정세에 대한 설명을 듣던 도중 오쿠노 발언의 경위에 대한 언급이 나오자, ‘일본에서 천황의 입장과 전쟁에 대한 내 마음을 아직도 잘 이해해주지 않는다’며 한탄했다”며 “눈가가 빨갛게 물들고 눈물도 흘렸다”고 말했다. 히로히토가 우파 각료의 발언에 대해 이런 심경을 피력한 것은 A급전범 합사에 대한 발언을 한 직후다. 관계자들은 히로히토가 일부 정치인들의 전쟁에 대한 인식이 잘못됐다고 느끼고, 현직 각료들의 야스쿠니 참배를 몹시 불쾌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다른 측근은 “정치인으로부터 전쟁을 정당화하는 취지의 발언이 나오면 폐하는 몹시 불쾌해 하는 모습이었고, 영·미 외교관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외국인 조차 내 마음을 알아주는데’라며 탄식을 했다”고 말했다. “폐하가 (A급전범) 합사를 듣자 그 자리에서 ‘앞으로는 참배하지 않겠다’는 의향을 보였다” “폐하가 화를 냈기 때문에 참배가 없어졌다. 합사를 결정한 사람은 정말 바보다”라는 등의 측근들 증언이 봇물을 이뤘다. 히로히토 메모와 증언 “태평양전쟁은 잘못된 침략전쟁” 인식 뚜렷 히로히토의 이런 뜻을 거스르고 해군소좌 출신인 마쓰다이라 나가요시 전 야스쿠니 궁사가 78년 A급전범 합사를 단행한 데 대해선, 황국사관(만세일계의 천황이 일본을 다스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관)에 깊게 물들어 있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태평양전쟁은 성전’이라는 사고에 사로잡힌 그는 합사에 신중한 히로히토가 잘못됐다며, 합사를 강행해 ‘왕의 잘못’에 대해 간언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고 <도쿄신문>은 전했다. 마쓰다이라는 당시 왕세자(아키히토 현 일왕)의 야스쿠니 참배도 강력히 주장했다. 이번 메모와 증언들은 태평양전쟁이 잘못된 침략전쟁이라는 사실을 히로히토가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메모에는 그가 전쟁에 대해 “가장 싫은 기억”이라고 언급한 부분도 나온다. 히로히토의 이런 인식은 지금도 천황제를 떠받들며 전쟁과 야스쿠니 참배를 정당화하려 안간힘을 쏟는 극우세력에겐 상당한 타격이다. 히로히토는 천황제가 절대적 권위를 떨치던 시절 신으로 추앙받던 일왕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메모 등은 히로히토의 전쟁 책임에 ‘면죄부’를 주려는 세력에게 악용될 소지도 있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을 필요로 한다. 히로히토가 전쟁을 강하게 비판한 것으로 나타날수록, 전쟁은 A급전범 등 일부 국군주의자들이 주도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을 우려가 있다.
|
야스쿠니 신사 합사에 대한 히로히토 일왕의 발언을 적은 도미다 아사히코 궁내청 장관의 수첩 메모.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