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DJ 납치사건’ 수사본부 지금도 운용 |
일본 경시청 공안부는 1973년 발생했던 '김대중 납치사건'의 수사본부를 지금도 유지하고 있다.
납치현장에서 지문이 발견돼 사건 범인으로 지목됐던 김동운 당시 주일대사관 서기관이 사건 직후 한국으로 돌아가 사건 시효가 일시 중단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기 전까지 수사본부는 '형식상' 유지될 전망이다.
일본 경시청은 사건 이튿날인 1973년 8월9일 104명 체제의 특별수사본부를 차렸으며 1년 뒤 23명 체제로 본부를 축소했다. 1983년 수사본부는 해산됐지만 지금도 수사는 계속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전담요원은 없다. 1993년 DJ의 일본 방문시 피해자 진술을 받기도 했다.
사건 당시 경시청 외사 2과장으로 수사를 지휘했던 이노우에 유키히코(井上幸彦) 경시총감은 26일 아사히(朝日)신문과의 회견에서 "용의자, 피해자 양쪽의 이야기를 들을 수 없었던 것이, 진상으로의 접근을 복잡하게 했다"며 "DJ가 수사에 협력하려는 자세를 갖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DJ 납치사건은 국가간 '속셈'이 두터운 벽이 된 사건"이라며 "왜 DJ를 노려, 일본에서 모험했을까. 수사관으로서 수수께끼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 (도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