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8.04 14:17 수정 : 2006.08.04 14:17

중국 대사 “이웃 싫은일 삼가야” 아베 “종교자유 보장”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이 지난 4월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靖國)신사에 참배한 것으로 밝혀진 4일 일본 정치권과 언론의 비판과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아베 장관의 '포스트 고이즈미' 경쟁자인 다니가키 사타카즈(谷垣楨一) 재무상은 이날 "개인적 참배, 종교의 자유라는 형태의 참배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나, 어떤 범위의 사람이 그렇게 되는가. 개인적인가, 그렇지 않는가의 선을 긋는 것은 외국에서 보면 알기 어려운 문제가 남는다"고 지적했다.

자민당의 가토 고이치(加藤 紘一) 전 간사장은 "관방 장관은 다른 각료와 다르며 정부를 대표하는 각료"라며 "가서는 안됐다"고 비판했다.

또 "아베 장관의 저서를 읽어보면 어떻게 해서라도 참배하겠다는 신념이 있다. 고이즈미(小泉) 총리는 A급 전범에 관계없이 특공대원에게 추도의 마음을 바친다는 생각이나, 아베 장관은 도쿄전범재판의 부정이 근저에 있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제4의 '포스트 고이즈미' 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 방위청장관은 회견에서 "나는 신중히 대처하려고 생각하고 있다"며 8.15 참배에 대해서도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그는 고이즈미 총리와 차기 총리의 참배 여부에 대해서는 "나는 정치적인 의미에서 교착상태인 일.중, 일.한 관계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신중히 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간자키 다케노리(神崎武法) 대표는 "이미 총리와 외상, 관방장관은 참배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해왔다"며 "아베 장관의 참배는 극히 유감이며 일.중, 일.한 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 우려된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왕이(王毅) 주일 중국대사는 이날 니가타현 나가오카시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서 "이웃이 가장 싫어하는 것을 삼가는 것이 동양인의 전통"이라며 "피해자는 가급적 잊으려고 노력한다. 가해자는 가급적 기억한다. 그래서 양자가 서로 양보한다. 하지만 조금 유감스럽게도 가해자가 기억하려는 것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며 아베 장관의 참배를 비판했다.

교도통신은 "9월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야스쿠니참배의 시비가 주요 쟁점이 되고, 후계 총리 레이스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다"며 "현지 관방장관의 참배에 한국과 중국이 격하게 반발할 것이 확실시된다"고 내다봤다.

한편 아베 장관은 이날 회견에서 자신의 4월 참배가 밝혀진데 대해 "전몰자, 나라를 위해 싸웠던 분들에게 손을 모아 명복을 빌고 존숭의 뜻을 표하는 기분은 계속 가져가겠다고 말해왔다"며 "그런 기분에 변화는 없다. 갔다거나, 가지않는다거나, 간다거나를 말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방명록에 '관방장관'을 명시한 것은 '공인'으로서의 참배를 의미하느냐는 질문에는 "직책을 기입했다고 해서 개인의 입장을 떠난 것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다"는 1978년 일본 정부 관방장관의 답변을 들어, 자신의 참배가 사실상 개인으로서의 참배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총리나 그 외 각료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라도 개인으로서 헌법상 종교의 자유가 보장돼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고 주장, 총리 취임 이후에도 야스쿠니를 참배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 두었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