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중.일관계의 건강한 발전을 지키는 것이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부합하며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안정에도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그러면서 중국 정부와 인민은 중.일 우호를 소중하게 여기는 일본의 정치가와 많은 국민들과 함께 '역사를 거울 삼아 미래를 바라보는' 정신에 입각해 양국의 평화공존과 세대간 우호, 상호협력, 공동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미화하는 야스쿠니신사 참배가 더 이상 양국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장애물로 떠오르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기대가 성명에 담겨 있다. 중국은 성명에서 "일본 각계의 지식인사들이 역사의 조류에 순응해 정치적 장애를 제거하고 중.일관계가 조속히 정상적인 발전궤도를 회복하는 데 앞장설 것을 믿는다"고 밝힘으로써 포스트 고이즈미 시대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분명히 드러냈다. 박기성 특파원 jeansap@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
중, 항의성명에 포스트 고이즈미 기대감 담아 |
중국은 15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가 야스쿠니(靖國)신사를 참배한 시간에 맞춰 외교부 성명을 발표, 고이즈미 총리의 행위를 강력히 항의했다.
중국 정부가 외교 사안에 대해 이번처럼 신속한 발빠른 반응을 내놓은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이는 중국의 입장에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는 중.일관계를 좌지우지하는 가장 중대한 사안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명확히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된다.
중국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국제정의에 대한 도전이자 인류의 양심을 짓밟는 행위"라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전기념일에 이뤄진 고이즈미 총리의 참배가 향후 중.일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새로운 작용점이 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중국측 성명에는 오히려 중.일관계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서려 있다. 다음달 퇴임하는 고이즈미 총리의 뒤를 이을 지도자에게 보내는 일종의 메시지라고도 볼 수 있다.
성명은 중.일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일본 지도자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고 중국이 일본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다.
중국은 "과거사를 정확히 인식하고 대처하는 것이 곧 전후 중.일관계 회복과 발전의 정치적 토대가 될 수 있고 양국이 공동으로 지향하는 미래의 중요한 전제가 된다"고 성명에서 제시했다.
또 "중.일관계의 건강한 발전을 지키는 것이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부합하며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안정에도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그러면서 중국 정부와 인민은 중.일 우호를 소중하게 여기는 일본의 정치가와 많은 국민들과 함께 '역사를 거울 삼아 미래를 바라보는' 정신에 입각해 양국의 평화공존과 세대간 우호, 상호협력, 공동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미화하는 야스쿠니신사 참배가 더 이상 양국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장애물로 떠오르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기대가 성명에 담겨 있다. 중국은 성명에서 "일본 각계의 지식인사들이 역사의 조류에 순응해 정치적 장애를 제거하고 중.일관계가 조속히 정상적인 발전궤도를 회복하는 데 앞장설 것을 믿는다"고 밝힘으로써 포스트 고이즈미 시대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분명히 드러냈다. 박기성 특파원 jeansap@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또 "중.일관계의 건강한 발전을 지키는 것이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부합하며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안정에도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그러면서 중국 정부와 인민은 중.일 우호를 소중하게 여기는 일본의 정치가와 많은 국민들과 함께 '역사를 거울 삼아 미래를 바라보는' 정신에 입각해 양국의 평화공존과 세대간 우호, 상호협력, 공동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미화하는 야스쿠니신사 참배가 더 이상 양국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장애물로 떠오르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기대가 성명에 담겨 있다. 중국은 성명에서 "일본 각계의 지식인사들이 역사의 조류에 순응해 정치적 장애를 제거하고 중.일관계가 조속히 정상적인 발전궤도를 회복하는 데 앞장설 것을 믿는다"고 밝힘으로써 포스트 고이즈미 시대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분명히 드러냈다. 박기성 특파원 jeansap@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