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타이완, 일본 오키나와의 시민연대인 ‘야스쿠니 반대 공동행동’ 참가자들이 15일 오전 도쿄 메이지 공원에서 전쟁반대 야스쿠니 반대를 외치며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신사참배를 규탄하고 있다. 도쿄/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공동행동 규탄집회 신사 상대 소송 등 추진
“지난 며칠동안 잠도 안 자고 투쟁해왔지만, 우리에겐 아직도 힘이 남아있다.”(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일본쪽 대표)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저지하기 위해 닷새동안 도쿄와 오사카 등지에서 투쟁해온 한국·대만·일본 세 나라의 시민들은 15일 아침 참배 강행에 힘이 빠지기는커녕 오히려 결의의 날을 더 날카롭게 가다듬었다. 세 나라 시민단체들이 뭉친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공동행동)은 이날 고이즈미 총리의 참배 직후인 오전 8시부터 도쿄 지오다구 사카모토초공원에서 4백여명이 모인 가운데 규탄집회를 시작했다. “연대 투쟁은 이제 시작”=일본쪽 대표인 미나무리 츠구오 변호사는 집회에서 “참배를 저지하지 못한 것은 우리의 힘이 부족한 탓이지만 앞으로 또다른 일본 총리의 참배를 막기 위해 더욱 많은 아시아의 친구들과 함께 싸울 준비가 돼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가자들은 이어 도쿄역을 거쳐 히비야공원까지 1시간30여분동안 거리행진을 벌이며 고이즈미 총리를 규탄했다. 히비야공원에서 정리집회를 여는 것으로 닷새동안 이어져온 투쟁 일정은 모두 마무리됐다. 하지만 미나무리 변호사의 말대로, 이것이 끝은 아님이 분명하다. 공동행동은 “이번 투쟁은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 더는 개별적으로 대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알리기 위한 것”이라며 “국제적인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당사자인 한국·대만·일본의 단체들이 연대해 공동대응하는 출발점이었다”고 평가했다. 국제연대로 힘을 모아 야스쿠니 문제를 풀기 위한 ‘행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펼치겠다는 뜻이다. 합사취소 소송 본격 추진=우선 공동행동은 야스쿠니 신사를 상대로 한 합사취소 소송에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 11일 대만 원주민 1명과 일본인 8명이 일본 오사카 지방법원에 소송을 낸 데 이어, 한국인 피해자 유족들도 도쿄 지방법원에 야스쿠니 신사를 제소할 계획이다. 또 한국·대만·일본·오키나와 공동원고단을 꾸리기 위한 논의도 진행중이다. 2001년 6월 한국인 군인·군속 생존자와 유족이 냈던 합사취소 소송은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것으로, 지난 5월 도쿄 지방법원은 “합사 관계는 야스쿠니 신사 소관사항”이라며 기각한 바 있다. 이에 공동행동은 희생자들의 위패를 보관하며 이들을 ‘일본을 위한 전쟁신’으로 모시고 있는 당사자인 야스쿠니 신사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하게 됐다. 이와 함께 공동행동은 야스쿠니 신사에 한국·대만인들이 언제부터 합사됐는지, 어떤 과정을 거쳐 몇명이 합사됐는지, 일본 정부는 합사에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 등을 포함한 진상조사를 벌인다. 야스쿠니 신사와 일본 정부가 합사자와 관련된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 이런 기초적인 사실조차도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유엔 인권이사회 제소도=공동행동은 유엔(UN) 인권이사회에 야스쿠니 신사를 제소하고, 특별보고관 등이 유엔 차원에서 합사 문제를 조사하도록 요청할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또 로마 교황청 등 종교계에 지원을 요청하고, 국제인권단체와 연대해 야스쿠니 신사의 문제점을 세계에 알릴 예정이다.합사가 희생자들에 대한 인권유린이며, 참배는 일본 군국주의의 부활 기도임을 동아시아를 넘어 미국·유럽 등에 알리고 국제연대 틀을 확대해 일본을 압박하겠다는 뜻이다. 도쿄/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