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17 15:39 수정 : 2006.09.17 15:39

일본의 차기 총리가 확정적인 아베 신조(安倍晋三.51) 관방장관이 자민당 당직 인사와 조각 등 인선 문제로 부심하고 있다.

자리는 한정돼 있는데 지지자들이 단시간 내에 너무 많이 몰려든 탓이다. 이에 따라 인사를 둘러싼 자리 싸움이 어느 정권보다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사에서 배제된 국회의원들의 불만도 어느 때 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아베 장관은 오는 20일 자민당 총재선거에 선출되더라도 당직 인사를 오는 26일 총리지명선거 직전까지 미룰 방침이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 등 전임 총재들의 경우 당선 후 곧바로 당직 인선을 마쳤었다.

그러나 당직 인사를 먼저 하게 되면, 당직에서 밀려난 의원들과 각 계파에서 각료 자리를 둘러싼 '엽관 운동'이 있을 것을 우려, 당직 인사를 최대한 뒤로 미뤄 내각 구성과 거의 동시에 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일 아베 장관의 총재선거 출정식에 당 소속 중.참의원 403명 가운데 245명의 의원이 몰렸다. 다들 총리가 확실한 아베 후보에게 눈도장을 확실히 찍어 인사에서 덕을 보거나 최소한 불이익은 당하지 않겠다는 생각에서다.

하지만 각료 자리는 17개에 불과하다. 또 총리가 인사권을 갖고 의원들에게 줄 수 있는 자리가 당과 내각을 통틀어 100개 뿐이다.

현재 5-7선 중진 가운데 각료 경험이 없는 의원은 35명. 파벌의 영향력이 컸던 과거 자민당 정권에서는 파벌 간의 안배로 중진들을 배려했으나 아베 장관은 고이즈미 총리와 마찬가지로 파벌의 의견을 들어 하는 인사는 하지 않겠다고 천명한 상태다.

파벌 무시와 적재적소 인사를 강조한 아베 장관의 방침에 따라, 초선 의원들 사이에서도 각료 발탁을 기대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에서는 유력한 대항마로 기대됐던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관방장관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대세가 아베 장관 쪽으로 급격히 기울자 마치 '눈사태'를 연상시킬 정도로 의원들 사이에 앞다퉈 '아베 진영'에 합류했다.

자리도 자리지만, 소선거구제로 바뀐 뒤 재선에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 국민적 인기가 높은 아베 장관을 총재로 뽑는 것이 재선에 유리하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이렇게 뛰어든 의원들은 서로 자신이 '아베 총리' 만들기를 주도하고 있다며 측근 행세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장관이 속한 당내 최대파벌 모리(森)파의 회장인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총리가 아베 지지 의원들에 대해 "모두들 내가 아베의 측근이다. 내가 아베를 선거에 나오도록 했다고 말한다"며 '급조된 측근들'이 넘쳐나는 현상을 꼬집었을 정도다.

현지 언론에서도 아베 장관의 인사에 대해 추측성 기사를 보도하고 있지만, 가능성만을 전하는 수준이며 확실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보도된 내용을 보면, 아베 장관이 당 간사장을 총리와 다른 파벌 출신을 기용했던 관행을 깨고 같은 파벌에서도 기용할 경우 나카가와 히데나오(中川秀直) 정조회장이 간사장에 임명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과 총리실 주도 정권 운영을 위해 측근들이 대거 기용될 공산이 있다는 정도다.

아베 장관은 앞으로 있을 인사에서 당내 여러 의견을 듣되 최종적인 판단은 자신이 내리겠다고 말하고 있다. 원활한 정국 운영을 위해 안정을 중시하는 인사를 할 것인지, 고이즈미 총리의 후계자답게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할 지 주목된다.

이홍기 특파원 lhk@yna.co.kr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