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9.24 16:54 수정 : 2006.09.24 16:54

"시기를 놓쳐서도 안되지만 현명한 판단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일본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출범을 이틀 앞둔 24일 정부의 한 관계자는 한일관계 정상화를 추진하는 정부의 복잡한 심경을 전하면서 '냉철함'을 특별히 강조했다.

최악의 한일관계를 남긴 `고이즈미 시대'를 마감하는 계기를 살려 가급적 정상적인 이웃관계를 회복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서둘러서는 안된다는 신중함도 함께 느껴진다.

정부 당국자들의 움직임은 아무래도 중국과 일본이 보여주는 행보와 연관이 있어 보인다.

아베 정권이 출범한 뒤 중국과 일본 정상이 극적으로 만날 경우 한국만 '외톨이'가 되는 장면도 상상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미 도쿄(東京)에서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23일 만났다.

두 사람은 아베 정권 출범에 따라 지난해 4월 이후 중단됐던 정상회담 재개를 위한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소식이 일본 언론을 타고 전해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전통적으로 일본 총리의 취임 직후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돼왔으며 이번에도 이런 전통이 유지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외교역량을 집중해 지혜를 모을 경우 '한일 정상회담'을 우선적으로 성사시키면서도 정부가 의도로 한 메시지를 한일 양국 국민들에게 전할 수 있는 묘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정부 당국자들의 희망이다.

하지만 `강한 일본'을 내세우며 야스쿠니 신사참배는 물론 과거사 인식에 있어 고이즈미 정권과 유사하거나 한걸음 더 `우익성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아베정권과 어떻게 `접점'을 찾을 지가 과제가 되고 있다.

또 일본인 납치문제 등에 집착하는 등 대북 정책에 있어 강경정책을 고수하는 아베 정권이 한국과 대북관계 현안 조율에 어떤 자세를 보일 지도 정부 당국자들을 어렵게 하는 대목이다.

정부는 이전 부터 아베 정권 출범에 대비해 `향후 한일관계를 원만하게 발전시키기를 진심으로 희망하며 이를 위해 일본 지도자들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든 해결돼야 하며 그밖의 과거사 인식, 대북 정책에서 한국 국민의 정서와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원칙을 견지해왔다.

이 때문에 정부 내부에서는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한일 정상회담을 성사시켜야 한다'는 과감한 주문과 함께 '정상회담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정상적인 한일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신중론이 교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의원연맹 회장인 문희상 열린우리당 의원이 지난 22일 이 모임의 일본측 회장인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총리과 만나 조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 또는 아베 신임 총리의 서울 방한을 거론한 것은 과감한 현상타파 주장과 맥이 닿아있어 보인다.

문 의원은 오는 11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회의(APEC)에 앞서 서울에서 양국 정상회담이 가능한 지를 모리 전 총리에게 타진했다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

하지만 정부의 또 다른 소식통이 "아베 신임 총리의 방한 초청 문제가 거론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부의 방침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한차례의 한일 정상회담보다 중요한 것은 바람직한 한일관계의 정립이며 이를 어떻게 실천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있다"고 전한 것도 무시할 수 없다.

이 시점에서 정치적 논리를 떠나 바람직한 한일관계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있어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이 담겨있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아베 정권 출범을 계기로 `축하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우리 정부의 의지를 1차적으로 일본 정부에 전한 뒤 고위급 인사교류를 통해 구체적인 후속협의를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얼마나 지혜롭게 일본과의 관계정상화를 추진하느냐, 그리고 일본의 아베 신임정권이 얼마나 이웃국가와의 선린우호관계 정립에 노력하느냐 여부에 따라 한일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 여부와 한일관계의 새로운 모습 등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이우탁 기자 lwt@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