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04 15:40 수정 : 2006.12.04 15:40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선거에서 중국에 패한 일본이 설욕을 벼르며 국제기구에 자국인 진출을 늘리기 위한 전략을 새로 짜고 있다.

4일 산케이(産經)신문에 따르면 후생노동성은 국제업무담당 직원의 효율적 인사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무작업반(WG)을 설치, 이날 첫 회의를 개최했다. 사무차관과 부대신을 비롯한 핵심 간부 수명으로 구성된 작업반은 정부개발원조(ODA)의 효과를 검증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문제와 국제기구 수장 선거 등 각종 국제현안에서 자국 지지여부를 ODA와 연계시켜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복안인 셈.

WHO 사무총장 선거 실무를 주도했던 후생노동성이 총대를 메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후생노동성 실무작업반이 마련하는 대책을 다른 부처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일본은 WHO 사무총장 선거에 오미 시게루(尾身茂)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국장을 출마시켰으나 후보자 5명을 대상으로 한 결선투표에서 중국의 마거릿 찬 후보에 패했다.

일본 정부는 오미 후보가 멕시코의 프리오 프랭크 보건장관에게도 뒤진데 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WHO 사무총장 선거에서는 아프리카와 유럽표 대부분이 중국을 지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은 이후 실시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넘버 2를 뽑는 선거에서도 중국에 대패했다. 일본 정부는 "일본의 국제적 평가가 저하된 증거"라며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이다.

'중국은 국제기구에 자국인을 진출시키기 위해 외교와 각 정책분야가 혼연일체가 돼 대처한다. 보건.의료분야에서도 직원을 한 분야에 장기배치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되도록 배려하는 한편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도 외교부와 실무기관이 협력한다'(후생노동성 간부)는게 일본 정부의 분석이다.


이에 비해 일본은 '본부 국제과장이 몇년후에는 지방자치단체의 과장으로 자리를 옮겨 전혀 다른 일을 하기 일쑤'(다케미 게이조(武見敬三) 후생노동성 부대신)여서 국제업무 담당 직원을 육성하는 시스템이 전혀 돼 있지 않다는 것. 국제기구 요직 선출 관련 선거를 담당할 사무직원을 육성하지 못한 것도 패인으로 지적됐다.

실무작업반은 이런 반성에 따라 국제업무에 관심이 많은 직원은 일정기간 인사이동 대상에서 제외해 "다른 나라의 해당 업무 담당 직원과 사귈 수 있게"하는 제도를 마련할 방침이다. 실무작업반에는 국제협력기구(JICA) 보건의료분야 관계자도 옵서버로 참가시켜 ODA가 각 지역의 필요에 맞는지 여부와 원조에 대한 해당국의 평가 등도 자세히 분석키로 했다.

lhy@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