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이락 특파원 choinal@yna.co.kr (도쿄=연합뉴스)
|
일본 민주 간사장 “‘협의의 강제’는 억지” |
오가와 도시오(小川敏夫.59) 일본 민주당 참의원 간사장은 구(舊)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河野)담화에 대한 일각의 수정론에 대해 "정부가 이미 정확히 조사해 구 일본군의 관여가 명백하다고 보고 사죄했는데 왜 수정하느냐"고 말했다.
그는 18일 발행된 도쿄(東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히고 "반성을 철저히 하는 것이 미래를 위해서도 중요한데 '반성해야 할 사실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고 강조했다.
오가와 간사장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광의의 강제성은 인정해도 협의의 강제성은 인정할 수 없다'고 한데 대해서도 "(강제성에는) 광의도 협의도 없다. 고노담화에는 관헌(官憲.관청)이 억지로 끌고 갔다고는 적혀있지 않다. 총리가 고노담화를 부정하고 싶은데 입장 상 면전에서 부정할 수 없어 그런 말을 만들어 냈지만 그것은 억지다. 통용되지 않는 말이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어디까지나 업자가 주체가 돼서 위안부를 모집했지만 군도 간접적으로 가담했다. 군에 거역하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므로 (다른 나라 등으로부터) 강제 동원이라는 판정을 받아도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오가와 간사장은 '아베 총리는 왜 고노담화를 부정하고 싶어하느냐'는 질문에는 "자신이 복고적 스탠스를 지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서가 아니겠느냐"고 답했다.
또 미국 하원에 제출된 위안부 강제동원 비난 결의안에 대해서는 "국가의 신용과 관련된 문제이므로 가결될 경우 곤란하다. 하지만 '위안부의 증언은 사실무근'이라는 주장을 국제사회는 찬성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그는 '민주당 일부에서도 고노담화 수정론을 제기하고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그들이 떠들면 떠들수록 일본은 정말로 반성을 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는다"며 "고노담화에 입각해 분명하게 대응한다는 것이 당의 기본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오가와 간사장은 릿쿄(立敎)대 법학부를 졸업하고 시즈오카(靜岡)지방법원 판사, 도쿄(東京)지검 검사 등을 거쳐 1998년 도쿄에서 참의원 후보로 출마해 당선된 재선의원이다.
최이락 특파원 choinal@yna.co.kr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choinal@yna.co.kr (도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