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3.25 13:57 수정 : 2007.03.25 13:57

정부, '위안부 발언'에 유감전달-신중언행 촉구

정부는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제주도에서 열리는 한.일 외무장관 회담에서 일제의 군대 위안부 동원에 대한 일본내 움직임과 관련해 강한 유감의 뜻을 전달하고 일본 지도자들의 신중한 언행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또 군대 위안부 동원과 관련,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반성과 사죄를 표명한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는 입장을 적절한 방식으로 확언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25일 "이번 회담에서 일본측은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우리 국민 앞에 적절한 방식으로 확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달초 `고노 담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강제성을 증명하는 증언이나 뒷받침하는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고노 담화'란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晋三) 당시 관방장관이 일제가 태평양전쟁 당시 종군 위안부를 동원하는 과정에서 일본군과 일본 관리들이 관여했음을 인정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 다른 정부 당국자는 "양국 수도에서 열리는 회담과 달리 제주도에서 열리는 만큼 허심탄회하게 최근 양국 및 국제적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에서 위안부 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루게 될 것"이라면서 "일본 정부도 '고노담화' 계승 입장을 밝힌 만큼 이번 회담에서 이런 입장을 재확인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 양국은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로 파행으로 끝난 제6자 6자회담의 재개방안과 특히 2.13 합의가 차질없이 이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양국은 또 이번 회담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방일문제를 포함, 독도 주변 수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경계획정 협상, 양국 교류협력 방안도 논의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은 지난해 12월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이 일본을 방문,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외상과 회담을 한 것에 대한 답방형식이라고 정부 당국자들은 전했다.

회담은 `노 타이'(no tie) 형식으로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우탁 서동희 기자 lwt@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