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3.29 08:36 수정 : 2007.03.29 08:36

일본 야스쿠니(靖國)신사 전몰자 합사 과정에 당시 후생성이 합사 대상자를 결정하는 등 적극적으로 관여한 사실이 일본 국립도서관이 28일 공개한 '신편 야스쿠니신사 문제 자료집'에서 밝혀졌다고 일본 언론이 29일 보도했다.

후생성이 전범 등의 합사와 관련, 신사측과 빈번히 협의하면서 견해를 밝히는 등 야스쿠니 신사 합사 대상자를 결정하는데 관여했다는 내용의 자료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A급 전범이 합사되기 9년전인 1969년에 후생성이 신사측에 합사에 대한 의향을 타진했다는 내용도 이번 자료에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번 자료가 "국가와 신사측이 협력해 합사자들을 결정했다는 것을 나타내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보고 있다.

국립도서관은 야스쿠니신사 참배 문제와 관련, 조사 및 자료제공 요청이 증가해 작년부터 관련 자료를 수집해 왔다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전했다.

이번에 발표된 자료집은 야스쿠니신사가 소장하고 있는 비공개자료와 후생성, 신사측과의 협의 내용 등 모두 808건, 1천200쪽 분량이다.

자료에 따르면 1956년에 당시 후생성이 전몰자의 야수쿠니신사 합사와 관련, "3년간 완료하도록 협력해 달라"는 내용의 지침을 만들었다. 그해 이후 후생성과 신사의 협의가 진행돼 합사기준을 상세하게 결정했다. 협의는 후생성측 인사들이 신사를 방문해 이뤄졌다.

1958년 4월 4차협의에서는 후생성이 "전몰자는 B급 이하에서 개별심사, 지장이 없는 정도에서 눈에 띄지 않도록 합사하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9월 7차협의에서도 전범과 관련 후생성측은 "직무상 희생된 자 또는 사실에 반해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규정된 사람 등 합사에 부적격한 사람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히는 등 합사에 적극적으로 임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후생성측은 "우선 외지에서 사형을 당한 사람(B급 전범)을 눈에 띄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사하는 것을) 허락해주길 바란다"고 구체적인 기준까지 제안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A급 전범의 합사와 관련해서도 후생성과 야스쿠니신사측이 1969년 1월 협의를 했다는 기록도 공개됐다. 신사측이 작성한 자료에는 "A급 전범(12명)이 합사 가능하다"고 기재돼 있었다. 동시에 신사측 문서에는 "외부발표는 삼간다"고 말해 일본 안팎의 반발을 우려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결국 A급 전범의 합사는 1978년 10월에 이뤄졌지만 후생성은 9년 전부터 신사측과 합사 문제를 협의한 것이 명백히 드러난 것이다.

과거 후생성이 1966년 2월 야스쿠니신사측에 "합사를 보류하고 있던 전범 관계 사망자"라는 명목으로 A급 전범을 포함한 대상자의 명표를 야스쿠니신사측에 보낸 사실은 알려져 왔지만 그 후 실제 A급 전범이 합사되는 과정은 그동안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후생노동성 사회.원호국측은 "1966년에 명표를 보낸 이후 사무처리를 위한 협의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당시 후생성의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확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도코로 이사오(所功) 교토(京都)산업대 교수(일본법제문화사)는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후생성이 신사까지 가서 열심히 합사와 관련해 확인작업을 한 것은 주목된다"며 "전몰자도 야스쿠니신사에 합사해야 한다는 유족회와 전우회의 요청에 대해 후생성이 배려한 것이다. 관(官)이 야스쿠니신사라는 민(民)에 협력을 구하면서 합사자를 확정한 것이 이번 자료에서 확인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최이락 특파원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