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하원에 ‘위안부 결의안’을 발의한 마이클 혼다 의원의 입법 보좌관 아야미 나가타니(오른쪽)가 4일 오전 경기도 광주 퇴촌면 원당리 ‘나눔의 집’을 찾아 위안부 피해자인 강일출(왼쪽) 할머니와 손을 맞잡은 채 이야기하고 있다. 가운데는 지난 2월 하원 청문회에 출석했던 김군자 할머니. 의원 보좌관 일행 7명은 나눔의 집 역사관을 둘러본 뒤 피해 할머니들과 면담을 했다. 이날 현장에 동행한 한국 외교부 관계자는 면담이 개인적 일정이라며 보도진의 취재를 가로막아, 이 사진은 나눔의 집 관계자가 찍은 것이다. 사진 나눔의 집 제공.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일 정부 사죄를” 77명
아베, 방미 앞두고 위기감
미국 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를 요구하는 결의안에 찬성하는 의원들이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1월 말 결의안을 제안했을 당시 6명이었던 공동 제안자는 2일 현재 77명으로 늘어났다고 〈아사히신문〉이 워싱턴 발로 보도했다. 1주일 새 23명이나 늘어났다. 아베 신조 총리가 “(위안부 연행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것은 없었다”고 발언하는 등 일본 정부 여당 관계자의 잇단 위안부 강제연행 부인 발언이 의원들의 동참을 부채질한 것으로 신문은 분석했다.
일본의 이런 움직임을 미국 행정부가 외교의 기본이념으로 내세우고 있는 ‘가치’ 중 하나인 ‘인권’을 무시한 언행으로, 의원들이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결의안을 주도한 일본계 마이클 혼다 의원은 26일로 예정된 아베 총리의 첫 방미 때까지는 새로운 움직임은 피하겠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일본정부로선 총리의 방미와 맞물린 결의안 채택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모면하게 됐다. 하지만 일본 안에서는 방미를 무사히 마치기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다. 일본 정부의 한 관계자는 자칫하면 “일본군 위안부 서미트(정상회담)가 되고 만다”고 위기감을 숨기지 않았다.
아베 총리가 3일 밤 조지 부시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언급한 것도 미국 쪽의 격앙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그는 “이제까지 정부의 입장을 견지해, 신산한 삶을 맛본 옛 위안부 분들에게 마음으로부터 동정과 함께 극히 괴로운 상황에 놓였던 것에 대해 사죄를 표명한다”고 말했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
미 하원 보좌관 일행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얘기를 듣기 위해 4일 오전 경기도 광주 퇴촌면 나눔의 집에 들어서고 있다. 나눔의 집 제공
|
|
미 하원 의원 보좌관 일행이 4일 오전 경기도 광주 퇴촌면 '나눔의 집'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얘기를 듣고 있다. 나눔의 집 제공
|
|
피해 할머니들과 면담을 마친 미 하원 의원 보좌관 일행이 '나눔의 집'을 나서고 있다. 광주/박종식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