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재판지원 시민단체 "결의안 가결 환영"
일본 정부는 27일 군대위안부 문제와 관련,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에서 일본정부의 책임을 인정, 공식 사죄를 요구하는 결의안이 가결된데 대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이미 고노 담화에 입각해 '사과'를 표명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사태 추이를 조용히 지켜본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정부 대변인격인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의 입장은 지난 4월 아베 총리의 방미시 분명히 한 바 있다"며 '사과와 반성'을 표명한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 담화를 계승한다는 입장에 관해 계속 미국측의 이해를 구해나갈 것임을 밝혔다. 시오자키 장관은 그러면서 "다른 나라의 의회가 결정한 것이기 때문에 굳이 코멘트를 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의 이 같은 태도는 결의안이 하원 본회의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농후한 상황에서 정부로서 민감하게 반응할 경우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아베 총리가 위안부 동원을 놓고 '협의와 광의의 강제성'을 운운하며 반박했던 일이 문제를 오히려 키웠다는 반성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교도(共同)통신에 "일본 정부가 그때 그때 반응을 하게 되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며 냉정히 대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외무성의 한 간부도 "결의안은 구속력이 없고 우왕좌왕하지않는 것이 최선책이다. 일.미 양국 정부의 당국자간에 이를 정치문제화하려는 사람은 없다. 매스컴도 떠들지 않는 것이 좋다"며 결의안 파문이 조속히 진정되기를 희망했다.연립정권의 한 축을 맡고 있는 공명당의 기타가와 가즈오(北側一雄) 간사장은 결의안 채택에 대해 "항의할 필요가 없다"면서 그 이유로 "당시 군의 관여가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아베 총리나 역대 일본 정부도 인정하고 사죄했다. 지금까지의 설명을 계속 반복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타가와 간사장은 "일본 정부의 입장은 아베 총리가 방미시 밝혔다.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발언을 자제해야한다"며 정치인들의 신중한 발언을 주문했다. 그는 일부 극우인사들이 최근 워싱턴 포스트에 "강제적인 동원 사실이 없다"는 의견 광고를 낸데 불쾌감을 표시했다. 한편 위안부 관련 재판을 지원해온 일본의 시민단체로 구성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행동 네트워크'는 이날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 하원 외교위원회의 결의안 가결을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피해가 과거의 일이 아니라,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일본 정부에 대해 피해자 한명 한명에게 공식 사죄를 할 것과 모든 교과서에서 위안부 문제를 다뤄줄 것 등을 요구했다. 이홍기 특파원 lhk@yna.co.kr (도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