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07.17 20:35
수정 : 2007.07.18 01:40
|
방사능 물질이 포함된 냉각수 누출 상황
|
‘방사능냉각수 누출’ 내진설계 허점 노출 충격
아베 유세 중단 현장으로…‘득표전략’ 꼬집어
16일 일본 니가타·나가노현을 덮친 강진(규모 6.8)은 큰 인명·재산 피해를 넘어 일본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신화’까지 뒤흔들어 놓고 있다. 인명 피해도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 17일 밤 현재 사망 9명, 부상자 110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
원전 덮친 지진=가시와자키-가리와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누출 정도가 예상보다 심각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방사능이 포함된 냉각수 1.2톤이 방수구를 통해 바닷가로 누출된 데 이어 원전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보통 검출되지 않은 요오드, 코발트60 등 방사능 물질이 검출됐다고 일본 공영방송 <엔에이치케이>(NHK)가 17일 보도했다. 또 원전터 안에 있는 저준위 방사능 물질 폐기물이 들어있는 드럼통 100개가 쓰러져, 그 가운데 여러개의 뚜껑이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지진으로 원전의 방사능이 누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문제의 원전에서 50가지의 오작동 또는 파이프 파손 등의 문제가 일어났다. 일본 언론들은 새로운 내진기준 등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등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제산업성도 안전이 확인될 때까지 가시와자키-가리와 원전의 가동을 중단시켰다.
도쿄전력 쪽은 “누출된 냉각수와 배출된 공기의 방사능 양은 각각 라돈온천의 6ℓ과 법령 기준치의 1000만분의 1에 불과해 인체와 환경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사고 원전은 강진에 대비한 내진설계 등 지진대비에 허점을 노출했다고 언론들은 강조했다.
방사능 누출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지진의 충격강도는 애초 설계상 상정했던 기준치를 2.5배나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지진이 원자로에 전달한 충격강도는 수평방향으로 689갤(지진의 충격강도를 나타내는 가속도)로 설계기준치 273갤을 훨씬 초과했다. 폐핵연료 저수조에 있던 냉각수 1.2톤(미량의 방사능 포함)이 바다로 새어나간 것도 이 때문이다.
입지 선정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사능을 누출한 원전은 진원지로부터 9㎞밖에 떨어지지 않은 해안에 자리잡고 있다. 가까운 바닷가에 4개의 활성층(100만년 전부터 계속 활동하거나 다시 지진활동을 할 가능성이 있는 단층)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도쿄전력은 1988년 정부에 제출한 건설 신청지에서는 이번에 진원지가 된 활성층을 보고하지 않았다.
■
신속한 대응 뒤편=일본 정부는 지진 발생 2분 만에 총리관저에 대책실을 설치하고 자위대는 22분 뒤 피해 조사를 개시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했다. 이는 기본적으로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대책실을 설치해 관계성청 국장 등으로 ‘긴급팀’을 소집하도록 규정된 일본 정부의 지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신속한 위기관리 대응 모습을 통해 참의원 선거 득표로 연결하려는 아베 신조 총리의 정치적 의도도 엿보인다고 언론들은 지적했다. 재난을 사태 반전의 호기로 삼으려는 태도를 감추지 않은 것이다. 나가사키시에서 참의원 선거 유세중 지진보고를 받은 아베 총리는 1분 만에 유세를 중단한 뒤 도쿄로 돌아와 헬기를 이용해 현지에 날아갔다. 지난 3월25일 노도반도 지진 당시 아베 총리의 현지 시찰은 보름 이상 지난 뒤였다. 아베 총리는 17일 오키나와 유세도 중단한 채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