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31 09:08 수정 : 2007.07.31 09:08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을 비난하고 일본 정부의 사과를 요구하는 결의안이 30일 미국 하원 본회의에서 통과된데 대해 일본 언론은 향후 미일 관계에 악영향이 예상되며 특히 참의원 선거에서 참패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도 한층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NHK는 "하원 외교위원회의 톰 랜토스 위원장(민주)이 '군의 직접적인 관여를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는 일본측의 주장을 강하게 비판하는 등 결의안 찬성 의견이 속출하면서 결국 하원 본회의에서 사상 처음로 결의안이 채택됐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미국 의회 내에서는 결의안이 미일관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이런 의견이 대세를 차지하지 못했다"며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호된 (사과) 주문을 받는 모양새가 됐다"고 전했다.

교도(共同)통신도 "군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결의안이 미 하원 본회의에서 가결된 것은 처음"이라며 "결의안 자체는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일본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인 미국 의회에서 일본을 직접 비난하는 결의안이 가결됨에 따라 양국 관계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또 "참의원 선거에서 막 참패한 아베 정권이 결의안 저지를 위해 힘써 온 만큼 결의안 가결은 또 하나의 가혹한 실점 요인이며 일본 보수층들의 반발도 예상된다"며 "다만 미국 공화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미일관계에의 악영향을 우려하는 소리가 높아, 31일 외교위원회에서 일본이 대(對)테러 전쟁에 공헌해 왔음을 평가하는 결의안이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도 "하원 본회의에서 처음으로 채택된 이번 결의안의 법적 구속력은 없다"면서도 "일본 정부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결의는 미일관계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의회에 호소해 온 만큼 향후 미일관계에 미묘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최이락 특파원 choinal@yna.co.kr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