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31 20:28 수정 : 2007.07.31 22:08

미 하원 ‘종군위안부 결의안’ 채택

“미국 설득하겠다”… 아베정권 선거참패 이은 악재될 듯

일본 정부는 미국 하원 본회의에서 ‘위안부 결의안’이 통과된 데 대해 당혹스러워 하면서 “아쉽다” “실망스럽다”는 공식 반응을 내놓았다. 사죄 표명에 대해선 언급을 피했다.

아베 총리는 31일 기자들에게 “내 생각이나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는 지난 4월 방미했을 때 설명했다. 이런 결의가 나온 것은 아쉽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부터도 미국에 대해 설명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중요한 것은 21세기를 인권침해가 없는 밝은 시대로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3월 “관헌이 집에 들어와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로 끌고간 것은 아니다”며 강제 연행 사실을 공식 부인한 바 있다. 따라서 아베 총리의 이날 발언은 미 하원의 결정에 대한 불쾌감을 표시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시오자키 야스히사 관방장관도 아베 총리의 답변논리를 그대로 되풀이 했다. 외무성도 〈한겨레〉의 논평 요구에 “실망스럽다”며 같은 답변을 내놓았다. 외무성 관계자는 결의안이 요구하는 대로 사죄할지에 대해 “앞으로 계속해서 일본 정부의 방침을 설명해나가겠다”고만 밝혔다.

〈마이니치신문〉은 이날 “아베 총리가 4월 미국 방문 때 자진해서 미 의회 관계자들을 만나 이해를 구한 바가 있는 만큼 일본 정부 관계자는 허탈감을 나타냈다”며 “외무성 간부도 ‘담담하게 지켜볼 수밖에 없다’며 어쩔 수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결의안 저지를 위해 힘써온 아베 정권으로선 참의원 선거 참패에 이은 또 하나의 가혹한 실점 요인”이라며 “일본 보수층의 반발도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행동 네트워크’ 등 32개 시민단체는 이날 오전 내각부를 방문해 △일본군 위안부가 강제적으로 성노예 상태에 놓인 사실을 인정 △국가책임을 명확히 인정한 사죄 표명 △모든 피해자에 사죄편지 전달 △피해자를 위한 입법과 배상금 지급 등을 정부에 요구하는 제안서를 제출했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