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9.12 16:37 수정 : 2007.09.12 16:37

다니가키·후쿠다·요사노 등 거론…선거 19일 실시될듯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2일 총리직 사의를 밝힘에 따라 누가 차기 총리직에 오를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일단 지난 8.27 개각에서 간사장으로 기용되며 '포스트 아베' 최우선 순위로 꼽혔던 아소 다로(麻生太郞) 의원을 가장 유력한 후보로 보고 있다.

총무상과 외상 등을 역임하며 내각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은데다 9선 의원으로 정치경험도 풍부하다는 점이 최대 강점이다.

지명도와 국민적 인기도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점을 감안해 차기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의 성적을 책임질 인물로서는 최선이란 인식이 당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간사장으로 기용된 이후에는 일본 정치권의 최대 이슈인 테러대책특별조치법 연장 관철을 위한 당차원의 전략 마련에 나서는 등 아베 총리를 뒷받침하는데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기반을 넓혀왔다.

아소 간사장은 이날 아베 총리가 사의를 밝힌 뒤 열린 당 간부회의에서 "정치적 공백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조속한 시일내에 총재선거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총재직에 대한 의지를 간접적으로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아소 간사장 이외에도 다니가키 사타카즈(谷垣楨一) 전 재무상,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관방장관, 요사노 가오루(與謝野馨) 관방장관,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전 방위상 등의 이름도 거론되고 있다.

다니가키 전 재무상의 경우 아베 총리의 외교노선 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해왔다.

그런 만큼 차기 중의원 선거에서 또다시 패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아베 노선에서 벗어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총재 선거전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만 당내 기반이 취약한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후쿠다 전 관방장관의 경우는 위기관리 내각의 책임자로 적합하다는 측면에서 주목되고 있다.

지난 7.29 참의원 선거 참패 후 모리 요시로(森喜郞) 전 총리 등 자민당 간부들이 아베 총리를 퇴진시키고 후쿠다 전 관방장관을 후임 총재로 추대키로 합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현재의 낮은 자민당 지지도를 감안, 당내에서 조기 총선에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한 점이 한계로 보인다.

요사노 관방장관이나 고이케 전 방위상의 경우도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요사노 관방의 경우는 아베 총리와의 공동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고이케 전 방위상은 재임시 방위성 사무차관 인사를 둘러싼 마찰로 신뢰가 낮아졌다는 것이 단점이다.

아베 총리는 이날 사의를 밝히기 전에 자민당 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서 가능한 한 조기에 총재선거를 실시할 것을 요청했다.

교도(共同)통신은 당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 아베 총리의 후임을 정할 자민당 총재선거를 14일 고시하고 19일 투개표를 실시하는 방향으로 당 지도부가 조정 중이라고 전했다.

총리는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각각 지명할 수 있다. 동일 인물인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중의원과 참의원에서 각기 다른 인물을 지명할 경우엔 헌법에 의해 중의원에서 지명한 인사가 총리로 확정된다.

현재 참의원은 야당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중의원은 자민당과 공명당 등 여당이 3분의 2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만큼 자민장 총재선거에서 승리한 인물이 중의원에서 총리로 지명되면서 총리에 취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자민당은 아베 총리의 갑작스런 사퇴로 인한 선거 준비 시간이 촉박한 점을 들어 일반 당원에 의한 투표는 실시하지 않고 당 소속 국회의원과 도도부현(都道府縣)의 당 대표들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한 총재선거를 실시할 가능성이 높다.

차기 총리가 누가 되든 아베 총리를 사퇴로 몰고간 테러대책법 처리라는 난제가 기다리고 있다. 민주당이 아베 총리의 사퇴에도 불구하고 법안 연장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만큼 테러대책법 연장은 차기 총리에게도 자신의 향후 운명을 가늠할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이락 특파원 choinal@yna.co.kr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