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0.30 21:44 수정 : 2007.10.30 21:44

양국 주권침해 파문 외교적 타결

유명환 주일 한국대사는 30일 저녁 일본 외무성으로 고무라 마사히코(高村正彦) 외상을 방문, 1973년 발생한 김대중 전 대통령 납치사건에 대해 "유감이며 이런 사건이 다시는 있어서는 안된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다.

고무라 외상은 이에 대해 "(한국측의) 유감의 뜻을 진사의 뜻이자 재발방지를 위한 확약으로 받아들여도 좋겠느냐"고 확인을 요청했으며 유 대사는 "이의가 없다"고 답했다고 교도(共同)통신이 보도했다.

유 대사는 한국 정부의 공식 보고서가 김대중 납치사건을 정치적으로 타결한데 대한 일본측의 책임을 언급한 것과 관련, "일본의 책임을 추궁할 생각이 없다. 개인적으로는 (책임이 없다고)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김대중 납치사건이 한국 국가정보기관의 조직적 범행이었음을 인정한 과거사 진상조사위원회의 보고서가 발표된데 대해 "명백한 주권 침해"라며 한국 정부의 사죄와 재발 방지를 요구했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의 유감 표명에 대해 일본측이 받아들임에 따라 김대중 납치사건의 주권 침해 문제를 놓고 자칫 양국간에 외교적 갈등으로 까지 비화할 뻔한 사안이 외교적으로 무난하게 해결되게 됐다.

고무라 외상도 "수사를 계속할 것인지는 일본의 수사당국이 판단할 일이지만 외교적으로는 이로써 매듭이 됐다. 이번 일로 일한 양국관계가 나쁜 방향으로 나가지 않도록 상호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