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11.08 16:18 수정 : 2007.11.08 16:18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가 지난 3월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말했다가 한달만에 철회한데는 미국의 압력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이 문제에 정통한 일본 정치권 소식통들이 8일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아베 전 총리의 '위안부 발언'이 나온 뒤 토머스 쉬퍼 주일 미국대사가 일본 정부의 고위 관리들과 만나 아베 전 총리의 발언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더 커지면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 미국이 더 이상 지원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사를 전달했다.

또 쉬퍼 대사는 일본 관리들에게 미-일 관계가 위험 수위로까지 추락했음을 내비쳤다.

쉬퍼 대사의 '경고'가 전달된 뒤 아베 전 총리는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당시 관방장관, 아소 다로(麻生太郞) 당시 외상을 비롯한 고위관리들과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고 결국 미-일 관계의 중요성을 감안해 기존 입장에서 물러서기로 결정했다.

결국 지난 4월 3일 아베 전 총리는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를 통해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1993년의 고노(河野)담화를 계승한다는 뜻을 전달해야 했다.

(도쿄 교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