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속살인 흉악 범죄 이어 무차별 총기 난사까지'
주요 선진국 가운데 총기에 관한 한 가장 안전한 나라를 자부해온 일본에서 총기 발포 사건들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 안전신화에 구멍이 뚫리고 있다. 14일 밤에는 나가사키(長崎)현 사세보(佐世保)시의 한 스포츠센터에서 37세 남성이 이용객을 향해 사냥용 산탄총을 무차별 발사, 2명이 숨지고 6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달아났던 범인은 시내교회에서 자살한 시체로 발견됐다. 무차별 총기 난사는 총기 소지가 합법화된 미국 등에서나 발생하는 것 쯤으로 알고 있던 일본인들은 이번 사건에 대해 큰 충격을 드러내고 있다. 존속 살인 등 흉악한 사건이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드디어 무차별 총기 난사까지 발생한데 대해 일본의 장점으로 여겨온 도덕성과 안전신화가 근저부터 흔들리고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나가사키의 현직 시장이 선거 유세도중 조직폭력단 간부가 쏜 총탄에 숨졌으며, 5월에는 인질극을 벌이던 폭력단 요원이 출동한 경찰관을 향해 발포, 1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뿐만 아니라 지난 2월에는 도쿄에서 영역 다툼을 하던 폭력단 끼리 백주에 유혈 총격전을 벌여 시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다. 일본 경찰청에 따르면, 전국의 총기 발포 사건은 2001년의 215건에서 점차 줄어 2005년에는 100건 밑으로 떨어졌다. 작년에는 53건으로 사망 2명과 부상자 17명에 불과했으나 올 들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말 현재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건이 많은 54건이 발생, 19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했다.경찰이 작년에 압수한 총기는 458정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10년 전에 비해서는 30%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1995년 총기와 실탄을 소지하는 '가중 소지'와 발사행위 자체를 처벌하는 '발사죄' 신설 등 벌칙을 강화한 개정 총포법 시행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경찰은 그러나 총기 소지 자체가 감소한 것으로는 보지않고 있다. 오히려 조직 폭력단의 총기 은닉이 더욱 교묘해지고 있어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총격 사건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이번 사세보 무차별 난사 사건에서도 사용됐듯이 근래 들어 산탄총 등 엽총에 의한 발포사건이 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사이타마(埼玉)현의 한 음식점에서 말다툼을 하던 남성이 엽총을 발사, 1명이 숨졌었다. 현재 일본에서 소지 허가를 받은 엽총은 약 30만5천정이 등록돼 있다. 이 가운데 26만4천정이 산탄총이며, 4만1천정이 라이플총이다. 일본 정부는 총기 사건이 빈발, 희생자가 늘어남에 따라 총기 범죄의 처벌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총포법을 개정, 이달 말 시행을 앞두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