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22 11:37 수정 : 2008.07.22 11:37

일본 산케이(産經)신문이 22일 일본의 독도 영유권 교과서 해설서 기술에 대한 한국 정부의 강경 대응을 정권에 대한 국민의 비판을 밖으로 돌리기 위한 카드라는 표현을 써가며 폄하했다.

산케이는 서울발 기사에서 이명박(李明博) 대통령의 지지율이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 이후 또다시 20%를 밑돌고 있다고 지적하고 그동안 "한일 신시대", "셔틀외교 부활"이란 실리 외교를 내세우던 이 대통령이 해설서 독도 기술 문제에 대해서는 "깊은 실망과 유감"을 표하고 "단호하고 엄중한 대처"를 지시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 대통령은 권철현(權哲賢) 주일대사를 귀국시키는 등 일본에 대한 반발을 강화했다"며 "일본 대사관 앞에서는 연일 시위가 확산되고 있고 서울 지하철 내에서 일본 기업의 광고가 철거되는 등 반일 무드가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문은 "그런 가운데 지금까지의 정부가 내정 면에서 궁지에 빠지면 정권을 향했던 국민의 비판을 밖으로 돌리기 위해 사용한 '반일 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신문은 우려의 주체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신문은 "노무현(盧武鉉) 정권하에서도 2005년 3월 시마네(島根)현 의회가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의 날' 제정 조례를 가결했을 때 노 전 대통령이 그동안 역사 문제를 외교문제화하지 않겠다는 유연한 자세에서 대일 강경노선으로 전환했다"며 "(이후) 측근의 불상사로 추락한 노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올라갔다"고 주장했다.

산케이는 일본의 우익 대변지로 불리는 대표적인 극우 보수신문이다.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