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26 10:59 수정 : 2008.07.26 10:59

주요 선진국 가운데 가장 안정세를 유지해온 일본의 물가도 원유와 식량 등 국제 자원가격의 폭등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요동치고 있다.

일본 총무성이 24일 발표한 6월의 전국 소비자물가지수(신선품 제외)는 전년 동월대비 1.9% 상승했다.

이는 소비세율 인상 요인이 작용했던 1997년 4월부터 1998년 3월까지를 제외하면 15년 6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현재의 휘발유 가격과 식료품 가격 오름세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않고 있어 7월에는 2%대를 돌파할 가능성이 크다.

근로자의 임금이 오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나타나고 있는 최근의 물가상승은 가뜩이나 위축된 개인소비를 더욱 얼어붙게 해 전후 최장기 경기확대 국면을 이어오고 있는 일본 경제에 결정적인 악재가 될 우려도 있다.

일본 물가상승의 최대 주범은 원유와 곡물 등 원재료 가격의 폭등이다.

6월의 상승률을 분석해 보면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 급등을 배경으로 에너지가 1.1% 포인트나 지수를 끌어올렸다. 또한 소맥을 원료로 하는 스파게티와 즉석면 등을 포함한 식료품(신선식품 제외)도 지수에 0.8% 포인트 기여했다.

다른 품목은 지수를 끌어올리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전 등 공업제품은 가격 인하가 계속되는 등 물가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그러나 원재료 조달 등 기업간 거래가격 동향을 보여주는 기업물가지수(5.6%)에 비해서는 아직 저조한 편으로, 기업들이 원재료 조달 가격을 제품 가격으로 전가시킬 경우 에너지와 식료품 이외 품목의 가격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

기업들은 내수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품 가격을 인상할 경우 판매가 더욱 부진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라 인상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업체에서는 가격은 그대로 둔 채 용량을 줄이는 우회적인 방법을 택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월에는 전력·가스료가 인상을 앞두고 있어 2% 상승이 확실시되고 있다. 또한 8월에는 '물가의 모범생'인 계란을 비롯해 마요네즈, 드레싱, 냉동식품 등의 가격 인상이 예고돼 있어 8,9월에는 2.5%까지 올라갈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같은 물가상승은 소비자들의 생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소비자들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레저비 지출을 줄이는가 하면 원거리 외식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동일본고속도로의 6월 차량 통행대수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 줄어든 것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물가상승은 임금이 억제돼 있는 상황에서 나타나고 있어 1970년대의 석유위기 때와는 달리 연쇄적인 인플레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년판 일본 경제재정백서에 따르면 1973년 제1차 오일쇼트 당시에는 2년간 물가가 42.7% 상승하고 임금 상승률도 52.5%로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당시는 오일쇼크 이전부터 일본 경제가 '열도 개조 붐'에 편승해 과열상태를 보이며 물가도 두자릿수 상승을 지속해왔다.

이홍기 특파원 lhk@yna.co.kr (도쿄=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